손승현 온라인 초대전

70년 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Sohn Sung Hyun
On-line Exhibition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Enter

작가 소개
About Artist

손승현
Sohn, Sung Hyun
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

사람과 그 주변에 대한 관심으로 사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인을 비롯한 몽골리안의 역사, 사회, 경제에 관한 이야기를 시각예술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북미 원주민 공동체에 깊숙이 들어가 이들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여정을 함께하고 있다. 해마다 몽골과 북미 여러 곳을 여행하며 주된 작업인 사진작업과 글쓰기를 통하여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폭넓은 이야기와 현실 문제에 대한 문명비판도 병행하고 있다. 2002 광주 비엔날레를 비롯해 뉴욕, 이탈리아, 독일, 일본, 중국, 호주,몽골 등지에서 80여 차례 전시에 참여했고 국내외의 여러 출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은 책으로 미국 원주민의 이야기인 『원은 부서지지 않는다 (The Circle Never Ends)』(아지북스, 2007)와 『제 4 세계와의 조우 (Close Encounters of the Fourth World)』(지오북, 2012), 사진집으로『밝은 그늘 (Bright Shadow)』(사월의 눈, 2013), 삶의 역사- 안산, 홋카이도, 사할린, 그리고 타슈겐트 (한양대학교 글로벌 다문화연구원, 2015) 그리고 공역서로 원주민 구전문학인 『빛을 보다 (Coming to Light)』(문학과지성사, 2012)가 있다. 한국 시각인류학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뉴욕을 기반으로 하는 초상사진가 그룹 누토피아 포럼(Nutopia Forum)의 멤버이다. 현재 한국인의 근대와 이산문제, 제 4세계 사람들(선주민)에 대한 광범위한 사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작가 소개
About Artist

손승현
Sohn, Sung Hyun
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

Sung Hyun Sohn was born in Busan in 1971. He studied photography at Chung Ang University(BFA) and fine art photography at the graduate school of the same university(MFA). He received MFA in visual arts from Rutgers University in the U.S. and is currently pursuing his doctoral study in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ung Hyun Sohn expresses stories on history, society and economy of the Mongoloid race including the Koreans through visual arts. He is currently deep inside the community of native North Americans, together on a journey to their past and present. Every year, he travels around Mongolia and North America, and talks on various topics and criticizes civilization on current issues through photographs and writings. He participated more than 40 times in exhibitions held in New York, Italy and Germany and also the Gwangju Biennale 2002, and was part of multiple publication projects carried out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author wrote The Circle Never Ends (AGIBOOKS, 2007), the story of native Americans, and jointly translated Coming to Light(Moonji Publishing, 2012), the oral literature of indigenous people. He is the member of Nutopia Forum, a group of New York-based portrait photographers.

작가 소개
About Artist

손승현
Sohn, Sung Hyun
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

人間とその周辺への関心を持って、写真作業を行っている。韓国人をはじめとしたモンゴロイドの歴史、社会、経済に関する話を視覚芸術化する作業を進めており、北米原住民の共同体に深く入り、彼らの過去と現在への道のりを共にしている。毎年モンゴルと北米の各地を旅し、ライフワークである写真と文章で記録した内容をもとに、幅広いテーマと現実の問題に対する文明批判も並行して行っている。2002年の光州ビエンナーレをはじめ、ニューヨーク、イタリア、ドイツ、日本、中国、オーストラリア、モンゴルなどで80回余りの展示に参加し、国内外で様々な出版プロジェクトも行っている。著書に、アメリカ先住民の話である『円は壊れない(The Circle Never Ends)』(アジブックス社、2007)と『第4世界との遭遇(Close Encounters of the Fourth World)』(ジオブック社、2012)、写真集に『明るい陰(Bright Shadow)』(サウォレヌン社、2013)、『生の歴史 - 安山(アンサン)、北海道、サハリン、そしてタシュケント』(漢陽大学グローバル多文化研究院、2015)がある。また、共訳書に、 原住民の口承文学である 『光を見る (Coming to Light)』(「文学と知性」社、2012)がある。韓国視覚人類学会の研究委員として活動しており、ニューヨークを基盤とする肖像写真家グループ「ヌートピアフォーラム(Nutopia Forum)」のメンバーである。現在、韓国人の近代と離散問題、第4世界の人々(先住民)に対する広範な写真作業を進めている。

전시 소개
About Exhibition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광복 75주년을 맞아 사진전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을 기획했습니다. 홋카이도 강제노동 희생자 유골 발굴은 1980년대 일본의 시민과 종교인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1997년부터 22년간 한국과 일본, 재일동포, 아이누 청년들이 함께 태평양 전쟁 시기 강제노동으로 희생된 50여구를 발굴하고, 인근 지역 사찰 등에서 100여구의 유골을 수습했습니다.

지난 2015년에는 이 유골들 중 115구를 한국으로 모셔왔습니다. 정부차원이 아닌 순수한 한, 일 시민들의 힘으로 유골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1년부터 약 십년 동안 기록된 사진을 통해 유골을 둘러싼 유족 및, 한일 시민들의 관계를 묻는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유골 이야기의 시작은 홋카이도 슈마리나이 호수 근처에 위치한 구 광현사(사사노보효: 조릿대 전시관)강제노동 전시장에서 시작됩니다. 1970년대 중반, 도노히라 스님의 우연한 광현사 방문에서 유골발굴의 모든 일의 시작되었습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 홋카이도에 강제 연행당한 한국 사람들의 유골이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방치된 채로 60년 이상 흘러가 버렸습니다. 강제 연행과 강제 노동은 일본 정부가 전쟁 정책을 펴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고 관련기업들이 많은 사람들을 그들의 고향으로부터 끌고 와서 죽음으로 내 몰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강제연행, 강제노동 인류 보편의 문제입니다. 인류에 대한 죄악입니다. 일본 정부와 기업이 책임지지 않고 지나간 일을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이 알게 되고 인간을 존중하는 가장 기본적인 일로써 희생자 유골을 발굴해 그들의 고향으로 돌려보내 주는 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희생자 유골 발굴은 가해자나 피해자의 입장에서만 접근해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는 일이며 유골 발굴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함께할때 비로소 단절된 인간관계가 회복되고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이 가능해집니다. 강제노동 희생자 유골 발굴을 위한 한,일 공동 워크숍은 이러한 일들이 가능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것은 목숨을 잃은 유골이 살아있는 사람들을 다시 연결하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사진전을 통해 한.일, 재일동포, 아이누 시민들이 국가 간 갈등을 넘어 어떻게 교류하고 서로 이해하고 힘을 합쳐 유골발굴을 통한 만남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현재 교착된 동아시아의 평화에 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공식 포스터
공식 포스터

손승현 온라인 초대전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기간
2020.12.21.(월) –
2021.03.31.(수)
전시총괄
손승현
주최/주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후원
(사)평화디딤돌, (사)동아시아시민네트워크, (사)민족문제연구소
전시행정
이정은
전시운용
AGI Society
온라인 전시 기획/개발
Rebel9
포스터 디자인
김영철
사사노보효전시관 기획/아카이브 감수
박진숙, 양월운
도움주신 분
김영환, 김현태, 박수진 박사, 송기찬 박사
사진, 글, 비디오
손승현
사운드 설치
'재는 눈으로'(02:29) 써니킴(목소리), 심운정(타악기). 이선재(녹음), 사운드 디자인: 써니킴
사진 비평글
이영준 박사, 박평종 박사
번역
최춘호(일본어), 고아람(영어), 도노히라 유코(영어)
필름 스캔 및 디지털이미지 보정
칼라랩
갤러리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
2021년 2월 중 예정(엘리펀트스페이스, 서울)

☞ 사용자의 PC, 브라우저 환경에 따라 관람 환경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이트는 Chrome, Firefox, Safari의 최신 브라우저 이용을 권장합니다.

☞ Copyright 2020, 손승현 작가의 서면 동의없이 이 웹사이트에 실린 사진 및 글, 비디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단 전재,복제, 발췌할수 없습니다.

전시 소개
About Exhibition

70년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Celebrating the 75th anniversary of Liberation Day, the photo exhibition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is presented. The excavation of Korean forced laborers in Hokkaido has been underway since the1980s, led by some citizens and religious leaders in Japan. Since then, and over the past 17 years since 1997, Korean and Japanese experts, students, and youths have excavated the skeletons of 50 victims who died due to forced labor in Hokkaido

During the Pacific War, the remains of about 100 additional victims recovered at temples nearby. In 2015, Homecoming in 70 years, to transport the remains of 115 Korean victims such a long distance back to their home.

The photo exhibition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is a plan to illuminate how these victims were connected to people still alive today. After the Pacific War ended, it was known that there were many bodies of Korean victims in Hokkaido, where they had been brought for forced labor. Their remains were left on the Hokkaido for over 60 years. Forced labor was encourag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wartime to implement the country’s war policies. Following the government’s directions, many companies dragged numerous Korean people from their hometowns, forcing them into work until their death.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mpanies still ignored their responsibilities,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uncovered this historical tragedy and began to work at excavating the remains of Korean victims in order to send them home. The excavation project should not be understood only in terms of a conflict between assailants and victims. The discontinued relationship in history can only be recovered when all those involved in the excavation project dedicate themselves to their duties. in this sense, the Kor-Japan workshop for the excavation of victims of forced labor provides a good example. The true value of this project is to bring new life to the fallen Korean victims and to let them reconnect with people still living today.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will show how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have opened their minds and communicated throughout the cooperative project for the excavation of Korean victims, overcoming any conflicts that exis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will provide a chance to reconsider the efforts for peace in East Asia, which is currently in a state of deadlock.

Poster
Poster

SOHN SUNG HYUN,
ON-LINE EXHIBITION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Date
2020.12.21.(Mon) –
2021.03.31.(Wed)
Artistic Director
Sohn Sung-Hyun
Organized by
Foundation for Korean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by Imperial Japan
Supported by
Stepping Stone for Peace(Korea), NPO East Asian Citizen’s Network(Japan), The Center for Historical Truth and Justice
Administrator
Lee Jung-Eun
Management
AGI Society
Website Development
Rebel9
Poster Design
Kim Young-Chul
Sasanobohyo Museum Archive
Park Jin-sook, Yang Wol-oun
Adviser
Ph.D. Park Soo-jin, Kim Young-hwan, Kim Hyun-tae, Ph.D. Song Ki-chan
Photography, Writing, Video Work
Sohn Sung-Hyun
Sound Installation
Ashes to Snow, By Sunny Kim(voice) and Sim Woon-jung(percussions), Recorded by Lee Sun-jae, Sound processing by Sunny Kim. All rights reserved.
Crictic
Ph.D. Lee Young-joon, Ph.D. Park Pyung-jong
Translator
Choi Chun-ho (JPN), Ko A-ram (ENG), Tonohira Yuko (ENG)
Film Scanning, Digital Image Retouching
COLOR LAB
Related Exhibition and Program
Talk with artists scheduled for February 2021(ELEPHANTSPACE, Seoul)

☞ We recommend using the latest browsers such as Chrome, Firefox, and Safari.

☞ This website produced under licensed agreement with the Photographer Sohn Sung-hyun. The use or duplication of its materials without permission is prohibited.

전시 소개
About Exhibition

70年ぶりの里帰り:
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

70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光復(訳注:韓国では太平洋戦争の終戦のことをこのように表現する)75周年を迎え、写真展「70年ぶりの里帰り : 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 」 を企画しました。北海道における強制労働犠牲者の遺骨発掘は、1980年代に日本の市民や宗教人によって始められました。そして、1997年から22年間、韓国と日本、在日コリアン、アイヌの青年たちが共に太平洋戦争の時期に強制労働で犠牲になった50体あまりの遺骨を発掘し、さらに100体以上の遺骨を近隣地域のお寺などから集めました。

2015年には、これらの遺骨のうち115体を故郷の地、韓国にお連れしました。政府間レベルではない、純粋な日韓の市民の力で遺骨を持ち帰ったのです。そして、2011年から約10年にわたって記録された写真を通じて、遺骨をめぐる遺族や日韓市民の関係を問いかける展示を企画することとなりました。この遺骨にまつわる話の始まりは、北海道・朱鞠内湖の近くにある旧・光顕寺(現・笹の墓標展示館)の強制労働展示場から始まります。1970年代の半ば、偶然に殿平和尚が光顕寺を訪問したことから遺骨発掘の全てが始まったのでした。

太平洋戦争が終わった後も、日本の北海道には強制連行された朝鮮半島の人々の遺骨が残っていると知られてはいたものの、放置されたままに60年以上の月日が過ぎてしまいました。強制連行・強制労働は、当時の日本政府が戦争を進める政策を展開する過程で生じたものであって、関係した企業により多くの人々がその故郷から離され引きずり込まれ、最後は死に追いやられたのだと言えます。
強制連行・強制労働は、人類の普遍的な問題です。 人類に対する罪です。日本政府と企業が責任を負わずに放り去った事実を日韓の市民が知ったことで、人間を尊重する最も基本的なことであるからと、犠牲者の遺骨を発掘して彼らの故郷に返そうと動き始めたのでした。

犠牲者の遺骨発掘は、加害者や被害者としての立場だけから関わっても決して解決されることはなく、遺骨発掘に関わるすべての人が一つになることによってはじめて、断絶してしまった人間関係が回復し、新しい人間関係を形成することができます。強制労働による犠牲者の遺骨発掘のための東アジア共同ワークショップは、このような作業が可能であると示してくれる事例です。ここでは命を失った遺骨が、生きている人たちをつなぎ直す仕事をしてくれるのです。写真展「70年ぶりの里帰り - 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 」 を通じ、日本、韓国、在日コリアン、アイヌの市民たちが、国家間の葛藤を越え、どのように交流し、互いに理解し合い、力を合わせて遺骨を発掘してきたか、そして、そこで生じた出会いがどのように続いているかを確かめてください。
また、現在、膠着してしまっている東アジアの平和についても、もう一度考えるきっかけになれば幸いです。

Poster
Poster

孫昇賢, オンライン展示

 

70年ぶりの里帰り ~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

オンライン展示期間
2020年12月21日 - 2021年3月31日
展示総括
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
オンライン展示主催·主管
強制動員被害者支援財団
後援
(社)平和の踏み石、NPO東アジア市民ネットワーク、民族問題研究所
展示行政
イ・ジョンウン
展示運用
AGI Society
オンライン展示企画·開発
Rebel9
ポスターデザイン
キム・ヨンチョル
「笹の墓標」アーカイブ展示 - 編集・監修
パク·ジンスク、ヤン·ウォルン
協力
金英丸(キム·ヨンファン)、金賢泰(キム·ヒョンテ)、パク·スジン博士, 宋基燦(ソン·キチャン)博士
写真・文・ビデオ
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
音響インスタレーション
「灰は雪へと」
サニー·キム(声)、シム·ウンジョン(打楽器)
イ·ソンジェ(録音)、音響デザイン:サニー·キム
写真批評寄稿
イ·ヨンジュン博士, パク・ピョンジョン博士
翻訳
崔春浩(チェ·チュノ), コ·アラム(英文), 殿平有子(英文)
フィルムスキャン・デジタルイメージ補正
カラーラボ
ギャラリー展示場所
エレファントスペース、ソウル 2021年2月中(予定)

☞ Chrome、Firefox、Safari などの最新ブラウザを使用することを推奨します。

☞ このウェブサイトはフォトグラファー孫昇賢とのライセンス契約のもと制作されました。 許可なく資料を使用または複製することは禁じられています。

Homecoming

손승현(전시총괄)

사람이 세상에 와서 살아갈때 사회 공간 속의 많은 제도,환경과 관계 맺으며 살아간다 나는 그 동안 한반도에서 태어나 한국을 떠났거나 오랜 시간 지나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사람들, 고향으로 돌아간 사람들, 그리고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사진으로 기록했다. 나의 궁극적 관심사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적 모습들과 사람들에게 그런 사회적 삶을 살게 하는 사회적 환경, 제도들이다. 한국인들이 각기 고향을 떠나 살아가야 했던 낯선 이방인의 땅, 각기 다른 사회 속 제도와 관습, 권력 등은 사람의 모습과 얼굴모양 마저도 바꾼다. 이번 전시에서 보여지는 사진들은 지난100년 동안 미국을 포함해서 일본, 중국, 러시아, 사할린, 중앙아시아 등 세계곳곳을 떠돌아 다니면서 살아야만 했던 기구한 운명의 한국 사람들의 역사적 증언으로서의 인물기록사진이다. 현실의 삶이 척박하고 힘들고 괴로워도 아름다움과 결합될 때 긍정적 효과와 연결된다는 생각을 사진작업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이번 온라인 사진전은 유럽, 아메리카, 러시아 사할린 동포,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 조선족 동포, 북한 이탈 주민들(새터민), 재일동포들을 비롯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초상이 전시된다 또한 북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 한국사회에서 합법적인 국민으로 살아왔지만 냉전과 분단이라는 한국사회의 암울한 역사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우리 사회의 소수자로 인식되어온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가 사진으로 전시된다. 전시는 한국에서 이주한 다른 사회에서 겪어야 했던 한국 이주민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날 다양한 문화계층이 공존해 살아가는 한국의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시는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오랜 기간 타국에서 다른 문화 속에서 살아온 코리안 디아스포라 인들의 이야기와 초상을 기록한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여년간 기록한 “70년만의 귀향”, “사사노보효전시관 강제노동 아카이브 전시”,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등 4개의 사진작업이 전시된다.

지난 20여년간 조국을 떠나 타국의 삶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하게 살아온 수많은 한국인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들 수백명 한명 한명의 이야기가 가슴속 깊이 새겨졌다. 작가로써 가졌던 질문들 인간이란 과연 무었일까? 인간은 무엇으로 살아갈까? 에 대한 나의 기대를 몇 십배 넘어가는 놀라운 삶의 이야기 때문에 이야기를 들으며 많이 울었고 그 삶들로부터 여러가지 배울수 있었다. 이제는 작고 외소해진 사람들의 살아온 과거 이야기를 듣고나면 그들에 대한 경외심이 생겼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이야기를 듣고 난 뒤에는 그 삶들에 대한 존경으로 진심으로 안아드리고 위로드리고 싶은 사람들로 보였다. 내 가슴속에서 반응한 것은 이 사람들의 놀라운 ‘생명력’ 이었다. 감당하기 불가능한 힘들고 어려운 선택이 인생의 매 순간 다가와도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선 사람들의 얼굴은 삶의 지도와 같았다. 사진을 통해 이 사람들의 보이는, 그리고 보이지 않는 부분의 삶의 모습을 이야기 하고자 사진작업을 해왔다.

“억눌린 자들의 전통이 우리들에게 가르치고 있는 교훈은, 우리들이 오늘날 그 속에서 살고있는 “비상사태 the state of Emergency” 라는 것이 예외가 아니라 항상 같이 한다는 것이다.”
— 발터 벤야민, “역사철학테제”

Homecoming

by Sohn
Sung-hyun

We are born into a social context. Some stay in the context that they are born into, and others face territories that are unfamiliar to them. These photographs tell the stories of people who had been born in Korea but left later, people who came back long time after they had left, or those people who did not manage to return to Korea at all. My ultimate concern is to have an intimate look at the living state of the Korean immigrants in the foreign lands and the social institutions that force them to live on as strangers, even when they return to Korea. These soci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as well as the power structure of the societies alter the human figure, even their most nuanced facial features. The pictures shown in the exhibition are an archive of historical testimonies of Koreans whose strange fate led them to live wandering around the world in countries such as the USA, Japan, China, and Russia for the past 100 years. Through the lens of appreciation,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barren and difficult landscapes of the transnational Korean lives.

This On-line Exhibition is a collection of portraits and stories told by the transnational Koreans - from Koreans in Europe and America to Russians Koreans in Sakhalin, from Koryoin Koreans in Central Asia to Chosonjok Koreans in China, and from Saeteomin (North Korean defectors) to Zainichi Koreans in Japan. Also included are the portraits of repatriated unconverted long-term North Korean prisoners whose lives reflect the grim history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tories of what Korean emigrants have had to face in different societies including that of their homeland, this exhibition hope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cultural stratums that co-exist in Korean society today. This exhibition is composed of four projects: “70Year Homecoming,” “Sasanobohyo Museum of Forced Labor History Archive”, “Displaced Souls”, and “Dispaced People” that were record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For the past twenty years, I have listened to the stories of hundreds of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those who had to leave behind their homelands and barely managed to live and survive in foreign lands. Each and every one of their stories left a deep impression on my heart. As a photographer, my work has always been an attempt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it means to be human and what it is that we live for. The answers that I heard in the course of hearing their amazing life histories exceeded my expectations by leaps and bounds, often brought me to tears and taught me so much. Although at first glance, they would be considered weak and vulnerable by most of society, I grew a sense of awe and respect for them after hearing their life stories. What my heart responded to most was their exceptional vitality. Their faces were like maps of their lives - lives which had been spent confronting impossibly difficult choices head-on, even though they approached them every moment of their lives.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capture and convey in photographs both the visible and invisible parts of their lives.
The tradition of the oppressed teaches us that “state of emergency” in which we live is not the exception but the rule.
— Walter Benjamin, from Theses on the Philosophy of History.

里帰りHomecoming

孫昇賢
(ソン·スンヒョン)

人がこの世に生まれ落ちて生きていく時、社会という空間の中で多くの制度、環境と関係を作りながら生きていく。私はこれまで朝鮮半島で生まれ、故国を離れたり、長い歳月が経ってから再び故郷に戻った人々、故郷に戻った人々、そして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の話を写真に記録した。 私の究極の興味は、人々が生きていく際の社会的な姿と、人々がそのような社会的な姿で生きるようにさせた社会的環境・制度にある。朝鮮半島に住む人々が、それぞれ各自の故郷を離れ、新しく暮らさ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見知らぬ異邦人の土地、それぞれ異なる社会の中での制度と慣習、権力などは、人の姿や顔つきすら変えてしまう。今回の展示で見ることができる写真は、過去100年間、アメリカを含め、日本、中国、ロシア、サハリン、中央アジアなどの、世界各地に散らばって暮らすしかなかった数奇な運命を生きるコリアンたちの、歴史的な証言としての人物記録の写真である。現実の生活が厳しく辛いものだとしても、美と結びつく時には肯定的な効果とつながるという考えを、写真作品を通じて表現しようとしたものだ。

今回のオンライン写真展示は、「里帰りHomecoming」 の写真では、ヨーロッパ、アメリカ、ロシア·サハリンのコリアン、中央アジアで「高麗人」と呼ばれるコリアン、中国で「朝鮮族」と呼ばれるコリアン、北朝鮮の離脱住民(脱北者)、在日コリアンたちをはじめとした「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の肖像が展示される。また、韓国から北朝鮮に送還された非転向長期囚、韓国社会で「法の下ではれっきとした国民」として生きているのに、東西冷戦と南北分断という韓国社会の暗い歴史の中、仕方なく韓国社会のマイノリティであると見なされてきた人々とも出会い、彼らの話が写真で展示される。この展示は、朝鮮半島を離れ、移住した異国の社会で経験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移住したコリアン」の話を通じて、今日の様々な文化的な階層が共存して暮らしている韓国の社会的状況を理解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展示 「里帰り -Homecoming- 」 は、朝鮮半島をめぐる政治、歴史的事件によって、長い間、異国で異なる文化の中で生きてきた「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を生きる人びとの物語と肖像を記録する。今回の展示では、過去20年余りの間に記録した「70年ぶりの里帰り」、「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笹の墓標展示館・強制労働アーカイブ」などの4つの写真作品が展示される。

この20年余りの間、朝鮮半島の祖国を離れ、異国で生死の境界ぎりぎりで生きてきた数多くのコリアンに出会い、彼らの話を聞いてきた。その数百人の一人一人の話が、心の中に深く刻み込まれるものであった。私が作家として持っていた質問、 「人間とは、はたして何なのだろうか? 人間は何によって、生きるのだろうか」というものに対して、私の抱いていた期待を何十倍以上も超えた驚くべき人生談に、話を聞きながら多くの涙を流し、その生からいろいろ学ぶことができた。今では、マイノリティとして疎外された人々が生きてきた過去の話を聞くと、彼らに対する畏敬の念が湧いてくる。そうして彼らの人生について話を聞いた後は、その人生を尊敬する気持ちで心から抱き締めてあげたいと思える人に見えた。私の心の中で反応したのは、この人たちの驚くべき「生命力」だった。人生の瞬間ごとに、手に負えない、大変で困難な選択に直面しても、そこから逃げ出さず、正面から立ち向かった人々の顔は、人生の地図のようだった。写真を通じて、この人たちの「見える」そして「見えない」部分の人生の姿を語ろうと写真作業をしてきた。

抑圧された者たちの伝統が私たちに教えてくれる教訓は、私たちが今日その中で生きている「非常事態 “the state of Emergency”」と呼ばれるものは「例外」ではなく「通例」であるということだ。
ワルター·ベンヤミン「歴史哲学テーゼ」

70년만의 귀향
70Year Homecoming

손승현
Sohn, Sung Hyun

제2차 세계대전당시 일본식민하에 있던 한반도에서는 수십만의 젊은이들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탄광, 기지건설, 군인으로 강제로 끌려가야만 했다. 전후 일본정부는 전쟁 때 희생된 수많은 강제 징용 희생자들을 아무렇게나 방치한 채 일본 곳곳에 버려두었다. 그들은 한일정부의 무관심 속에 잊혀져 갔다. 희생된 사람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유골을 그들의 고향으로 되돌려 주려한 일본시민, 종교인에 의해 어둠 속에 잊혀진 희생자는 다시 빛을 보게 되게 되었고 한 많은 유족들을 찾아 유골을 돌려주고 위로해 주는 일이 시작되었다.

태평양전쟁 이후, 연합군 포로나 중국의 징용자 유골은 오래 전 그들의 조국으로 돌아갔지만 식민지 조선 출신의 희생자들은 죽어서도 차별 받았다. 심지어 군인으로 징병된 희생자들은 유족에게도 알리지 않고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로 합사시켜 버렸다. 홋카이도는 14만 5000명의 조선인 징용기록이 있고 확인된 희생자만 수 천명에 이른다. 홋카이도의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은 1976년 도노히라 스님(전 일승사 주지스님)의 우연한 슈마리나이 폐사찰 (광현사, 현 사사노보효전시관) 방문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스님이 만나게 된 80여개의 우류댐 희생자 묘표로부터 홋카이도 강제징용 희생자 발굴 작업은 조사, 시작되었다. 1970, 1980년대 지역단체인 '소라치 민중사 강좌’ 회원들을 중심으로 유골발굴을 진행했고 많은 유골을 발굴해 한국으로 유족과 연락하고 희생자들을 고향으로 돌려보내기 시작했다. 이후 1997년 한,일 공동 워크숍으로 더 많은 양국 시민 학생들이 만나면서 희생자 발굴작업은 더 큰 규모로 이루어졌고 지난 20여년간 공동작업이 되었다.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고 역사의 진실을 만나는 교류의 장이 된 것이다.

"70년만의귀향작업" 은 홋카이도에서 그간 발굴된 유골과 인근 사찰에 보관중인 유골 115구를 희생된 징용자들이 끌려간 그 길을 되돌아오는 여정으로 송기찬 교수에 의해 기획되었다. 한국에서 출발해 돌아오기까지 3,800킬로미터 열흘간의 여정은 2015년 광복 70주년이 되는 해에 실행되었다. 비행기로는 세관, 검사 통관 등 여러 문제들이 발생했기에 버스와 배를 통한 여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여정의 시작은 홋카이도 북쪽 끝자락에 위치한 아사지노 일본 육군 비행장 강제노동 희생자 34구의 유골을 임시로 안치해 둔 북쪽 마을 절에서 추도식이었다. 이곳에서 슈마리나이 광현사를 들러 4구의 유골을 모시고 비바이시의 미쯔비시 탄광에서 희생된 6구의 유골(조선인 5000명의 징용자 기록)과 정토진종 삿포로 별원에서 합골된 유골중 남한 출신 희생자 유골 71구를 분골해 모시고 여정을 떠났다. 삿포로 남단 토마코마이 항구에서 도쿄인근의 오오아라이 항구를 출항했다. 징용자들이 끌려간 바닷길을 따라갔다. 당시, 징용자들은 두 번의 바다를 건너며 절망 했다고 한다. 도쿄와 교토, 오사카, 히로시마, 시모노세끼를 들리면서 희생자들이 그들의 고국으로 돌아감을 알리고 과거의 진실과 마주할 기회를 만들게 된 것이다.

귀향단은 시모노세키에서 무사히 대한 해협을 건너 부산 항에 도착했고 노제를 올리고 장례식이 거행될 서울 시청 광장으로 이동했다. 많은 자원봉사자와 유족들 그리고 시민들이 참여한 장례식을 치른 뒤 유골은 화장을 거쳐 파주 시립묘역에 안장 되었다. 아직도 일본 전역에는 수만의 방치된 강제 징용 희생자 유골이 방치되어 있다. 더 늦기 전 에 서둘러 옮겨와야 한다. 양국 정부가 못한다면 "70년만의 귀향"처럼 양국 시민의 힘으로 진행하면 된다. 유골을 그들의 고향으로 돌려주는 일은 인간으로써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다. 한국과 일본의 양심적인 종교인, 활동가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올린다.

70년만의 귀향
70Year Homecoming

손승현
Sohn, Sung Hyun

During World War II, hundreds of thousands of young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ere forcibly taken to coal mines, military base construction, and the military to carry out the war. After the war, the Japanese government abandoned and neglected these numerous victims of forced labor in various parts of Japan. They were forgotten amid the indifference of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The victims who were forgotten in the dark were brought into the light again by Japanese citizens and religious people who tried to remember the victims and return their remains to their homeland, and thus began the work of finding and consoling the bereaved families by returning the remains of the victims.

After the Pacific War, the remains of the prisoners from the allied forces or Chinese draftees were returned to their homelands long ago, but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victims from colonial Joseon (Korea) even after they were dead. What is worse, the victims who were drafted as soldiers were enshrined in Yasukuni Shrine of Japan, without even notifying their bereaved families. Hokkaido has a conscription record of 145,000 Koreans and thousands of those victims have been confirmed. The excavation of victims of forced labor in Hokkaido began in 1976 with an accidental visit by Monk Tonohira (former chief monk at Ichijoji) to the Shumarinai Temple (Kokenji, the current Sasanobohyo Museum). The monk saw 80 grave marks of the Uryu Dam victims, and that is how the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of victims of forced labor in Hokkaido started. In the 1970s and 1980s, the members of the "Lectureship of People’s History in Sorachi," a local organization, led the excavation of the remains, contacted the bereaved families, and began sending the many victims back to their hometowns. Later, in 1997,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met through a joint worksho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scale of the excavation of victims increased. It became a joint project for the past 20 years. The project became not only a place of exchange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ut also where they can meet the truth of history.

Homecoming after 70 Years is a journey of 115 remains, excavated in Hokkaido and kept in the nearby temples, tracing back the route taken by the victimized draftees and was planned by Professor Song Ki-chan. The 10-day journey of 3,800 kilometers from and to Korea started on the 70th anniversary of National Liberation Day in 2015. The journey was realized by bus and ship due to the various customs problems such as inspection and customs clearance in air travel.

The start of the journey was a memorial service at a temple in the northern town where the remains of 34 forced labor victims were temporarily enshrined from the Asajino army airfield, located on the northern tip of Hokkaido. The journey stopped by the Kokenji temple in Shumarinai for the four remains enshrined there, then for the remains of six victims from the Mitsubishi mine in Bibai-shi (5,000 Korean draftees recorded). The remains of 71 victims jointly enshrined in Jōdo Shinshū Sapporo Betsuin were cremated for the journey. The remains traveled from the Tomakomai port on the southern end of Sapporo to the Ooarai port near Tokyo. The journey traced back the sea route the draftees were taken through. It is said that the draftees were in despair at the time, crossing the sea twice. Stopping by Tokyo, Kyoto, Osaka, Hiroshima and Shimonoseki, the journey told the victims that they were heading back home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face the truth of the past.

The group returning home crossed the Korea Strait from Shimonoseki safely and arrived at the port of Busan, and moved to the plaza of Seoul City Hall for the funeral after a memorial service. After holding a funeral in which many volunteers, bereaved families and citizens participated, the remains were cremated and laid to rest at the Paju Municipal Cemetery. The remains of tens of thousands of victims of forced labor are still left unattended throughout Japan. We must bring them back before it's too late. If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are unable to do this, it can be done with the power of the citizens of both countries, as in Homecoming after 70 Years. Returning the remains to their homelands is the most important task as a human being.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conscientious religious people and activists in Korea and Japan again.

70년만의 귀향

손승현

〈70년 만의 귀향〉은 강제 징용된 희생자를 고국으로 돌려 보내는 여정을 기록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 강점기의 한반도에서는 수많은 젊은이들이 전쟁터로 끌려갔다. 전쟁 노역으로 강제 징용된 이들은 일본 본토 내 탄광에서 강제 노역을 하거나, 군속으로 차출되어 동남아 지역의 기지 건설에 동원되었다. 특히 지하자원이 풍부한 일본 최북단의 섬 홋카이도 지역으로 14만 명의 조선인이 끌려갔다. 겨울이 유난히 길고 추워 강제징용 자들이 가장 기피한 곳이라 알려진 홋카이도에서만 수 천명의 조선인이 강제 노동으로 희생됐다.

일제는 패망했지만 일본 정부는 수많은 강제 징용 희생자 유해를 일본 곳곳에 그대로 내버려두었다. 심지어 일본 정부에 보고된 절반 이상의 유골은 다른 사람들의 유골과 뒤섞여 개별성조차 잃어버렸다. 한 예로 삿포로 별원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등의 강제 징용 희생자 101명의 유골이 뒤섞인 3개의 항아리를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와 달리 삿포로 별원에서 찾은 희생자의 존재와 신원에 대한 단서는 일본 시민들과 종교인의 관심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희생자를 기억하고 이를 안팎으로 알렸던 일본 시민들과 종교인들은 얼마후 한국 시민사회와 함께 활동하며 한 많은 유족을 찾아 유골을 돌려주는 일을 시작했다.

1976년 슈마리나이 폐사찰(현 사사보노효 전시관)을 방문한 도노히라 요시히코 주지 승려는 우연히 조선인 이름의 위패 수십개를 발견했다. 이에 의문을 품은 도노히라 주지 승려는 지역 주민들과 함께 '소라치 민중사 강좌'라는 시민단체를 조직하고 강제징용 희생자에 대해 조사하는 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위패에서 증언하고 있는 내용을 토대로 한국의 유족에게 연락해 희생자의 유골을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이러한 희생자 유골 발굴 활동은 1997년 한일 공동 워크숍을 계기로 두 나라의 시민들과 학생들이 더 많이 참여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무엇보다도 한일 시민 사회가 함께 역사의 사실 앞에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을 형성한 것이 의미있었다.

〈70년 만의 귀향〉은 홋카이도에서 그간 발굴된 유골 115위를 수습하고, 징용자들이 끌려간 그때의 길로 되돌아오는 귀향단 여정을 기록했다. 이 여정은 송기찬 교수가 기획했다. 한국에서 출발하고 돌아오는 약 3,800킬로미터 열흘간의 여정은 때마침 2015년 광복 70주년이 되는 해였다. 세관, 검사, 통관 등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는 비행기 대신 버스와 배를 통한 여정으로 구체화했다.

2015년 9월 11일 하마톤베쓰에 도착한 귀향단은 이튿날 홋카이도 북쪽에 위치한 아사지노 텐유지 절을 방문했다. 이곳은 일본 육군 비행장 강제 노동 희생자 34위 유골을 임시로 안치하고 있었다. 그 날은 추모식이 열렸다. 추모식을 마치고 슈마리나이 사사노보노효 전시관을 들러 유골 4위를 운구했다. 이후 미쓰비시 비바이 탄광에서 희생된 6위의 유골과 정토진종 삿포로 별원에서 합골한 한국인 희생자 유골 71위를 모시고 삿포로를 떠났다. 삿포로 시에서 1시간 정도의 남쪽에 위치한 토마코마이 항구에서 배를 타고 이바라키현의 오아라이 항구로 향했다. 두 번의 바다를 건너며 절망했던 징용자들의 바닷길이었다. 도쿄에 도착한 귀향단은 도쿄 쓰키지혼가지에서 열린 추모식에 참석하여 임시로 안치한 유골함을 모시고 교토로 떠났다. 교토, 오사카, 히로시마, 시모노세키를 차례로 들러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골 115위가 고국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일본 사회에 알렸다.

귀향단은 시모노세키에서 대한해협을 무사히 건너 부산항에 도착했고 노제를 올린 후 장례식이 거행될 서울 시청 광장으로 이동했다. 많은 자원봉사자와 유족들 시민들이 참여했다. 장례식을 치른 뒤 유골은 화장을 거쳐 서울시립추모공원(파주 용미리)에 안장되었다. 이와 같은 시민 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바다 건너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희생자가 많다. 일본이 확인한 강제 징용자 희생자 유골만 2643위. 이마저도 지자체와 불교교단에서 제공한 정보만 합한 것이다. 2019년 한국 법원의 일제 강제 징용 판결로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마저 외면하며 한일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두 나라의 냉랭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한일 시민사회는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봉환 문제에 연대하고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2019년 2월 28일 강제징용 희생자 유골 74위가 80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것도 양국 활동가들과 종교인의 노력이 크다.

안타깝지만 시간은 우리 편이 아니다. 2020년 11월 '강제징용 역사의 산증인' 재일 동포 강경남 할머니가 향년 95세로 별세했다. 8세 때 징용된 아버지를 따라 일본으로 온 강경남 할머니는 강제 징역 1세대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유족과 생존자가 기억하는 희생자 이름이 어두운 심연으로 침전하기 전에 유골을 찾고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한 줌의 유해는 한때 인간이었고 가족이 있었고 우리였다.

70Year Homecoming

During World War II, hundreds of thousands of young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ere forcibly taken to coal mines, military base construction, and the military to carry out the war. After the war, the Japanese government abandoned and neglected these numerous victims of forced labor in various parts of Japan. They were forgotten amid the indifference of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Japan. The victims who were forgotten in the dark were brought into the light again by Japanese citizens and religious people who tried to remember the victims and return their remains to their homeland, and thus began the work of finding and consoling the bereaved families by returning the remains of the victims.

After the Pacific War, the remains of the prisoners from the allied forces or Chinese draftees were returned to their homelands long ago, but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victims from colonial Joseon (Korea) even after they were dead. What is worse, the victims who were drafted as soldiers were enshrined in Yasukuni Shrine of Japan, without even notifying their bereaved families. Hokkaido has a conscription record of 145,000 Koreans and thousands of those victims have been confirmed. The excavation of victims of forced labor in Hokkaido began in 1976 with an accidental visit by Monk Tonohira (former chief monk at Ichijoji) to the Shumarinai Temple (Kokenji, the current Sasanobohyo Museum). The monk saw 80 grave marks of the Uryu Dam victims, and that is how the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of victims of forced labor in Hokkaido started. In the 1970s and 1980s, the members of the “Lectureship of People’s History in Sorachi,” a local organization, led the excavation of the remains, contacted the bereaved families, and began sending the many victims back to their hometowns. Later, in 1997,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met through a joint worksho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scale of the excavation of victims increased. It became a joint project for the past 20 years. The project became not only a place of exchange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ut also where they can meet the truth of history.

Homecoming after 70 Years is a journey of 115 remains, excavated in Hokkaido and kept in the nearby temples, tracing back the route taken by the victimized draftees and was planned by Professor Song Ki-chan. The 10-day journey of 3,800 kilometers from and to Korea started on the 70th anniversary of National Liberation Day in 2015. The journey was realized by bus and ship due to the various customs problems such as inspection and customs clearance in air travel.

The start of the journey was a memorial service at a temple in the northern town where the remains of 34 forced labor victims were temporarily enshrined from the Asajino army airfield, located on the northern tip of Hokkaido. The journey stopped by the Kokenji temple in Shumarinai for the four remains enshrined there, then for the remains of six victims from the Mitsubishi mine in Bibai-shi (5,000 Korean draftees recorded). The remains of 71 victims jointly enshrined in Jōdo Shinshū Sapporo Betsuin were cremated for the journey. The remains traveled from the Tomakomai port on the southern end of Sapporo to the Ooarai port near Tokyo. The journey traced back the sea route the draftees were taken through. It is said that the draftees were in despair at the time, crossing the sea twice. Stopping by Tokyo, Kyoto, Osaka, Hiroshima and Shimonoseki, the journey told the victims that they were heading back home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face the truth of the past.

The group returning home crossed the Korea Strait from Shimonoseki safely and arrived at the port of Busan, and moved to the plaza of Seoul City Hall for the funeral after a memorial service. After holding a funeral in which many volunteers, bereaved families and citizens participated, the remains were cremated and laid to rest at the Paju Municipal Cemetery. The remains of tens of thousands of victims of forced labor are still left unattended throughout Japan. We must bring them back before it’s too late. If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are unable to do this, it can be done with the power of the citizens of both countries, as in Homecoming after 70 Years. Returning the remains to their homelands is the most important task as a human being.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conscientious religious people and activists in Korea and Japan again.

70年ぶりの里帰り

第2次世界大戦当時、日本の植民地下にあった朝鮮半島では、戦争を遂行するため、数十万もの若者が炭鉱や基地建設の労働者や軍人として強制的に連れて行かれる運命から逃れ得なかった。戦後、日本政府は、戦時に犠牲となった多くの強制徴用犠牲者たちを何ら顧みることなく、日本のあちこちに捨て置いたままにした。日本、そして韓国の両方の政府の無関心の中、彼らは忘れ去られていった。しかし、犠牲になった人々を記憶し、彼らの遺骨を彼らの故郷に帰そうとする日本の市民・宗教人の手により、闇の中に忘れ去られた犠牲者は再び日の目を見ることとなり、大きな恨みを抱える遺族を訪ね、遺骨を返し慰労する事業が始まった。

太平洋戦争以降、連合軍の捕虜や中国の徴用者遺骨は、かなり昔に彼らの祖国に戻っていたのだが、植民地・朝鮮出身の犠牲者は死んでも差別された。さらには、軍人として徴兵され亡くなった犠牲者たちは遺族に知らせることもなく、日本の靖国神社に合祀させてしまった。北海道には14万5,000人の朝鮮人徴用の記録があり、確認された犠牲者だけでも数千人に上る。北海道の強制労働犠牲者の発掘は1976年、殿平善彦・一乗寺住職が偶然に朱鞠内の廃寺(旧・光顕寺、現・笹の墓標展示館)を訪問したことから始まる。そして、そこで彼が出会った80余りの雨竜ダム犠牲者の位牌から北海道強制徴用犠牲者の発掘作業の調査が始まった。1970-80年代の地域団体である「空知民衆史講座」の会員を中心に遺骨発掘を行い、多くの遺骨を発掘し韓国の遺族と連絡を取り合い、犠牲者を故郷に送り返す作業を始めた。その後、1997年の韓日共同ワークショップ(後に「東アジア共同ワークショップ」と改称)により、より多くの日韓両国の市民や学生たちが集まり、犠牲者の発掘作業はより大きな規模となり、この20年間の歳月にわたって続く共同作業となった。 互いに理解し合い、伝え合い、歴史の真実と出会う交流の場になったのだ。

「70年ぶりの里帰り」事業は、北海道でこれまで発掘した遺骨と近隣のお寺に保管中の遺骨を合わせた115体の遺骨を、犠牲になった徴用者たちが当時に連れて来られた道を逆に辿って帰る旅程で、宋基燦(ソン·キチャン)立命館大学准教授によって企画された。「里帰り」一行が韓国から出発し、北海道から韓国に帰ってくるまでの総計3,800km10日間にわたる旅程は、2015年の光復(解放)70周年になる年に実行された。飛行機での移動では税関、検査、通関など様々な問題が発生するため、バスと船での旅程となった。

旅の始まりは、北海道の北端に位置する浅茅野・日本陸軍飛行場建設の強制労働犠牲者34体の遺骨を一時的に安置している天祐寺での追悼式から始まる。ここから朱鞠内・光顕寺に立ち寄り、4体の遺骨をお連れし、美唄市の三菱炭鉱で犠牲になった6体の遺骨(ここには朝鮮人5,000人の徴用者記録がある)と、浄土真宗・札幌別院で合葬されてしまった遺骨のうち韓国出身犠牲者の遺骨71体を分骨してお連れし、旅を続ける。札幌の南に位置する苫小牧港から東京へ向かうため茨城県・大洗港へと出発した後、徴用者たちが連れて来られた海の道を逆にたどることになる。当時、徴用者は、故郷から二度も海を渡って絶望したという。東京、京都、大阪、広島、下関を巡りながら強制労働の犠牲者たちが祖国に帰ることを知らせ、過去の真実に向き合う機会を各地で作った。

さらに「里帰り」一行は、下関から玄界灘を渡り無事に韓国・釜山(プサン)港に到着した。釜山でも慰霊祭を行った後、葬儀が行われるソウルの市役所広場に移動した。多くのボランティアと遺族、市民が参列した後、遺骨は火葬を経て坡州(パジュ)にあるソウル市立墓地に安置された。

現在も日本全域で数万名の強制徴用犠牲者の遺骨がいまだに放置されたままである。これ以上遅くならないよう、急いで彼らも帰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両国政府ができないのなら、「70年ぶりの里帰り」のように両国の市民の力で進めればいい。遺骨を彼らの故郷に還すこと。人間としてとても大事なことだ。そのような作業を進めて来られた、日韓の良心的な宗教人・活動家の方々に改めて感謝を申し上げたい。

징용자 아리랑

정태춘 작사,작곡, ‘달아 높이곰’

달아, 높이나 올라 이역의 산하 제국을 비추올 때 식민 징용의 청춘 굶주려 노동에 뼈 녹아 잠 못 들고 아리 아리랑, 고향의 부모 나 돌아오기만 기다려 달아 높이나 올라 오늘 죽어 나간 영혼들을 세라

달아, 높이나 올라 삭풍에 떠는 내 밤을 비추올 때 무덤도 없이 버려진 넋들 제국의 하늘 떠도는데 아리 아리랑, 두고 온 새 각시 병든 몸 통곡도 못 듣고 달아, 높이나 올라 내 넋이라도 고향 마당에 뿌려라

아리 아리랑, 버려진 넋들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달아, 훤히나 비춰 슬픈 영혼들 이름이나 찾자 고향엘 들러야 저승길 간단다 달아, 높이곰 올라라 달아, 놈이곰 올라라

Oh Moon, Rise High
(Arirang of Forced Laborer)

Music and Lyrics by Chung Tae-chun

Oh Moon, Rise High Light up these alien mountains and rivers A starving man torn from home Can’t sleep Bones bent from harsh labor Ari Arirang My parents long for my return Oh Moon, Rise High We’ll name the souls who died today

Oh Moon, Rise High See me shiver in the freezing wind. Light up the forgotten, the unburied souls Hovering in the Empire’s sky Ari Arirang the bride I left behind Can’t hear my painful cry Oh Moon, Rise High And sprinkle my soul in her door yard

Ari Arirang Abandoned spirits Can’t go home. Oh Moon, shine strong Light the way for the nameless dead Who must go home to find the doorway to that other world Oh Moon, Rise High Oh Moon, Rise High

徴用者アリラン “月よ、高く”

鄭泰春 作詞・作曲

月よ、高く昇り 異国の山河 帝国を照らす時 殖民徴用の青春 飢えて 労働に骨も溶け眠れず アリ アリラン、 故郷の両親 帰りだけを待ちこがれ 月よ、高くのぼり 今日息絶たえた魂を数えよ

月よ、高くのぼり 北風に震える 我が夜を照らすとき 墓もなく捨てられた魂 帝国の空を彷徨い アリ アリラン、残した妻 病いの慟哭も聞けず 月よ、高くのぼり わが魂 故郷の庭に散らせ

アリ アリラン、捨てられた魂 国に帰ることなく 月よ、明るく照らせ 悲しき霊の名を探そう 故郷に帰れず あの世が遠い 月よ、高くのぼれ 月よ、高くのぼれ

비평글

기억할 것인가,
망각할 것인가

박평종(미학, 사진비평)

전시 〈70년 만의 귀향: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에서 손승현은 일제강점기의 한국인 강제징용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전시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1부는 2015년에 이루어진 북해도 강제징용 희생자들의 유골 귀환 여정에 대한 다큐멘터리 작업이다. 2부는 희생자 유골 반환과 관련된 각종 현안을 다룬 2011년부터의 작업, 특히 슈마리나이 호수 댐 건설에 강제 동원됐던 노동자들의 문제를 다룬다. 3부는 강제 징용자를 비롯하여 희생자 가족, 원폭피해자, 사할린 강제 징용자들의 초상을 중심으로 그들 삶을 회고하는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함께 들려준다. 4부는 슈마리나이의 사찰 광현사를 개보수하여 설립한 사사노보효 전시관의 강제징용 관련 아카이브 작업이다.

1부 〈70년 만의 귀향〉은 북해도 지역 한국인 강제징용 희생자의 유골이 2015년 한국으로 귀환되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보여준다. 1997년부터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 주도로 이루어진 발굴 작업을 통해 총 115인의 희생자가 죽어서나마 모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북해도에 강제 징용됐던 한국인 노동자의 정확한 통계수치는 불확실하나 희생자가 수천에 이를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또한 생존자들의 증언과 후일 연구조사를 통해 입증된 사실관계에 비추어 보면 강제노역의 강도나 처우, 열악한 노동환경 등을 고려할 때 이 강제징용이 대단히 잔혹한 ‘반인륜적 범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정부가 취하고 있는 입장을 보면 이 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예컨대 2018년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신일철주금(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판결과 관련하여 일본정부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말하자면 일본정부는 이 강제징용에 대한 보상은 이미 끝났으며, 결국 진정으로 사죄해야 할 범죄로 보고 있지 않다. 1부 작업은 북해도의 아이누 부족도 함께 다루고 있다. 아이누 부족은 본래 북해도에 거주하던 원주민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의 탄압으로 현재 소수민족으로 전락한 상태다. 강제징용으로 북해도에 끌려갔던 한국인 노동자들 중에는 가혹한 강제노동을 견디다 못해 탈출하여 아이누 부족 공동체로 피신한 경우가 많았는데, 그 후손들에 관한 내용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2부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은 북해도 슈마리나이 댐 건설에 징용됐던 희생자 관련 작업이다. 슈마리나이 댐은 일본이 1938년부터 1943년 사이 군수물자 보급에 필요한 전력 확보를 위해 건설한 수력발전소다. 이 댐의 건설에 동원됐던 노동자 중 200여명이 혹한의 추위와 가혹한 강제노동으로 사망했으며, 희생자 발굴조사를 통해 조선인 38명이 집단 매장된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이와 관련한 추모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행사 및 워크숍, 댐의 현재 모습 등을 담은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3부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은 강제징용자와 그들 가족의 초상, 회고담으로 구성된다. 작가는 1990년대부터 줄곧 비전향장기수를 비롯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코메리칸 등의 초상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후에도 한국 근대현사의 굴곡 속에서 부득이하게 조국을 떠나 살 수밖에 없었던 재외 동포들의 초상작업을 계속하여 〈삶의 역사〉로 발표한 바 있다. 3부가 보여주는 초상들은 그 연장선상에 있다. 한 장의 초상은 ‘단지’ 인물의 얼굴만을 보여주지만 실상 거기에는 그 인물의 개인사가 깊이 각인돼 있다. 그리고 그 개인사는 내밀한 가족사, 나아가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거대한 ‘민족사’와 겹친다. 강제징용은 해당 개인의 고통과 인권 문제를 건드리지만 가족사와 연계되어 시공간적으로 확장될 수밖에 없다. 그 사연들이 모이면 결국 민족사가 된다. 개인의 문제로 축소될 수 없는 것이다.

4부는 슈마리나이의 사찰 광현사를 개보수하여 건립한 사사노보효 전시관의 강제징용 희생자 관련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댐 건설과정에서 희생된 강제징용 노동자들의 위패와 각종 증명서 및 신분증, 관련 자료사진 등을 비롯하여, 이 전시관에서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평화워크숍 관련 자료사진도 포함되어 있다.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형식상의 구분일 뿐이며 주제는 하나로 모인다. 작가는 이를 한마디로 “강제연행, 강제노동”이라고 언급한다. 실상 일제가 시행했던 징용은 정확히 ‘강제연행’과 ‘강제노동’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징용은 국가가 비상사태를 맞아 정상적으로 인력을 충원할 수 없을 때 행정 권력을 동원하여 시행하는 ‘노동착취’의 한 형태다. 〈70년 만의 귀향〉 전은 1938년 공포된 ‘국가총동원법’에 의거하여 일제가 자행한 이 ‘착취’의 희생자들을 다루고 있다. 징용은 때로는 행정 권력을 동원하여, 때로는 ‘자발적 지원’을 가장하여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졌음이 여러 증언과 조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징용이 전시와 같은 비상사태에 ‘합법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는 사고는 어떻게 나온 것일까? 나치의 통치 철학에 일정한 자양분을 제공했던 독일의 정치철학자 칼 슈미트는 소위 ‘예외상태’에서는 개인의 인권을 희생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는 논리를 제공한 바 있다. 예외상태, 말하자면 천재지변이나 전쟁처럼 국가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상황에서는 법질서의 정상적 운용을 통해 위기를 돌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경우 행정 권력은 일시적으로 법에 우선할 수 있다. 초법적 질서가 들어서는 셈이다. 물론 이 초법적 권력이 정당한가에 대한 판단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또한 법을 가장한 초법적 권력이 ‘예외상태’를 상시적 질서로 구조화시키고 있음을 지적하는 아감벤의 통찰도 고려해야 한다. 어쨌든 일제강점기에 조선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전역에서 일제가 자행한 강제징용은 이 전체주의적 발상을 극단화시킨 형태다. 비상사태에서의 징용이 자국민에게는 허용될 수 있다 할지라도 타 국민에게 적용될 수는 없다. 따라서 일본의 이익을 위해 조선에서 자행된 징용은 명백한 범법행위였다. 일본이 1938년에 공포한 ‘국가총동원법’은 이 범죄를 합법화하기 위한 책략이었으며, 이를 근거로 관 주도의 주도면밀한 인력 모집이 이루어졌다. 그것만으로도 부족하여 1944년에는 ‘국민징용령’을 공포하여 더욱 광범위한 강제징용이 시행됐다. 이는 모두 ‘법’을 근거로, 말하자면 ‘합법적으로’ 실시한 것이지만 결국 ‘합법’을 가장한 행정 권력의 남용일 따름이다. 나아가 징용희생자들의 증언과 관련 자료에 따르면 노동 당사자와 고용 주체 간에 체결한 계약 내용도 거의 지켜지지 않았음이 드러나고 있다.

이제 역사는 지나가고 희생자만 남았다. 심지어 〈70년 만의 귀향〉의 희생자들 대부분은 오랜 세월 동안 존재마저 망각되었던 이들이다. 제국주의 패권다툼과 2차 세계대전이라는 세계사적 흐름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기에 결과를 묵묵히 받아들이고 감내해야만 할까? 국가 주도로 자행된 ‘광범위한’ 폭력으로부터 개인이 비켜갈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징용의 희생자들은 거대한 폭력 앞에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었던 무력한 개인들, 말하자면 일종의 ‘호모 사케르’(아감벤)이기도 하다. 자신의 희생에 대해 항변할 대상조차 없었으므로.

그러나 그들의 희생을 잊지 않고 있던 이들의 오랜 노력 끝에 늦었지만 유골이 수습되어 고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유감스럽게도 이 각고의 노력은 국가가 아닌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 주도로 이루어졌다. 어떤 국가는 무자비한 폭력을 저질렀고, 또 다른 국가는 그 폭력의 희생자들을 보호하지 못했다. 또한 폭력의 주체였던 국가는 희생자들에 대한 참회나 보상에 진정성 있는 태도를 한 번도 보여주지 않았고, 희생자들을 껴안아야 했던 국가는 그들을 망각의 수렁에서 건져 올리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하지 않았다. 또한 강제징용이 국가 주도로 이루어졌다고 해서 노동을 수탈한 기업에 책임이 없지는 않다. 현재까지 밝혀진 수많은 사례들에서 보듯이 소위 ‘전범기업’들은 징용으로 끌어 모은 값싼 노동을 통해 천문학적 이윤을 남길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벌어진 각종 범법행위도 부지기수다. 말하자면 ‘반인륜적 범죄’는 민관 합작으로 은밀하게 자행되었다. 이 총체적 범죄행위를 밝히고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정당한 보상의 절차를 밟는 등 뒤틀린 역사를 바로잡는 모든 노력은 피해 당사자 개인의 몫이었다. 물론 정치, 외교적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실타래를 풀기는 쉽지 않다. 우선 당장 일본 정부의 완강한 태도가 문제지만 과거를 덮을 수는 없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지속적으로 사실관계를 파헤치고 문제를 제기하여 역사적 진실을 온전히 밝혀내야 한다.

손승현의 작업이 갖는 의미도 여기에 있다. 징용희생자 유골 115구를 발굴하여 국내로 송환하는 데 70년이 걸렸다. 수많은 희생자들 중 극히 일부일 뿐임에도 그만큼의 세월이 필요했다면 아직 채 밝혀내지 못한 또 다른 진실에 접근하는 데는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 알 수 없다. 광현사 아카이브가 보여주고 있듯 제 아무리 ‘사소한’ 기록도 후일 역사적 사실을 입증하는 데, 그리고 그 사실을 집단의 기억으로 보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개인의 기억과 객관적 기록이 함께 할 때 그 효과는 증폭된다. 작가는 3부에서 희생자의 증언(기억)과 4부에서 아카이브(기록)를 적극 활용하여 과거를 소환한다.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역사를 대하는 오늘의 자세를 기록으로 남겨놓는 것도 필요하다. 기록 없이 역사는 망각되기에.

작가는 강제징용 관련 작업을 진행하면서 나치의 홀로코스트를 떠올렸다고 밝힌 바 있다. 맞는 말이다. 두 사태의 양태는 달라도 본질은 같다. 나아가 이 ‘반인륜적 범죄’는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갑자기 출현한 ‘특수한’ 사태가 아니다. 인간이 인간에게 행한 그와 유사한 집단적 폭력과 잔혹한 범죄는 문명사 전체를 관통해 왔다. 물론 반성도 있었고, 참회도 있었다. 그러나 과거는 쉽게 망각되고 폭력의 역사는 계속 반복되어 왔다. 작가의 언급처럼 일제의 강제징용과 나치의 홀로코스트는 같은 본질을 갖고 있지만 ‘범죄’에 대한 참회의 방식은 다르다. 수없이 지적되어 온 바이지만 홀로코스트에 대한 독일 정부의 진정성 있는 반성과 전범자에 대한 단죄의 방식은 일본 정부의 미온적 태도에 비할 바가 아니다. 진정한 뉘우침이 없다면 유사 범죄는 언제라도 다시 발생할 수 있음을 문명사가 입증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손승현의 사진 기록이 할 수 있는 일은 현실을 지켜보고 보존하여 미래에 물려주는 것이다. 과거에 어떤 반인륜적 범죄가 자행되어 왔는지, 무고한 이들이 어떻게 희생되었는지, 그들을 추모하고 재발을 막기 위한 현재의 노력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이 모든 것을 낱낱이 기록하여 집단의 기억으로 보존해야 한다. 반인륜적 범죄는 문명이 지속되는 한 결코 망각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Critique

To Memorize,
or to Forget

Park Pyung Jong (Aesthetic Studies, Photo Critic)

In the “70 Year Homecoming: Displaced Souls, Displaced People,” photographer Sohn Sung Hyun confronts the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project, in particular the forced conscription of Korean workers. In this four-part exhibition, the part one is a photo documentary that follows the 2015 repatriation trip to bring home the remains of Koreans who were killed in Hokkaido. Part two traces the history of several related projects starting from 2011 leading up to the repatriation, especially the issue surrounding forced labor at dam construction sites in Shumarinai, Hokkaido. Part three focuses on portraits of survivors – stories of former conscripted workers; bereaved families; survivors of the Atomic Bombings; former workers sent to work in Sakhlin – so we learn about their life stories through directly listening to their voices. The final part four consists of archival materials from the Sasanobohyo Museum of Forced Labor History, housed in the building which used to be the nearest Buddhist temple to the Uryu Dam of Shumarinai.

Part 1 follows the process of the 2015 “Homecoming” repatriation pilgrimage that began in the former construction site of forced labor in Hokkaido and completed in Korea. Through the efforts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civic groups, the remains of one hundred and fifteen people have been excavated and repatriated home, although long after their deaths. Thousands of Korean workers are estimated to have been killed while forced to labor in Hokkaido. Given the testimonies of survivors and archival documents from generations of research, we can categorize forced labor as grave “crime against humanity,” as well as one can imagine the degree of harsh working conditions in this northern climate. However, judging from the pos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kept in regards to unpaid compensations for former forced laborers, this unresolved problem of colonialism is presently ongoing. For instance, when Korean Supreme court ordered the Japanese company Shin Nippon Steel (currently Nippon Steel Corporation) to pay compensation to its former conscripted workers, the Japanese government firmly responded by not acknowledging their fault. Simply speaking, the Japanese government considers this forced labor compensation matters closed, and does not consider this to be a grave crime that warrants sincere apologies. Notably, the part one of the exhibit follows stories of Hokkaido Ainu. Ainu are indigenous people who have been living on the island now called Hokkaido, but now they are treated as minorities, subjected to Japanese colonial oppressions against them, ever since the Meiji era of the late 19th century. Many Korean workers who escaped the harsh work conditions ended up running to Ainu communities who then hid and protected the workers. One of their descendants is highlighted in this exhibit.

Part 2 "Displaced Souls" is a work related to the victims who were conscript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Uryu Daiichi Dam) in Shumarinai, Hokkaido. This dam is a hydroelectric power plant built by Japan between 1938 and 1943 to secure the electricity needed for military operations. More than 200 of the workers mobilized to build the dam have died in severe cold and harsh forced labor, and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the victims’ remains have revealed that 38 Koreans had been mass-buried. This part consists of related activities in commemorations - memorial services, various events and workshops for overcoming problems, and photographs showing the current appearance of the dam.

Part 3 titled "Displaced People" consists of portraits of forced laborers and their families, and their oral histories. Since the 1990s, Sohn has exhibited portrait photographs of so-called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in South Korea (those who have been detained as a "North Korean sympathizer" in South Korea due to the North-South division since the Korean War), as well as Native American Peoples and Korean Americans. Following those projects, amidst the struggles in Korean modern history, he continued the portrait work of "Diasporic Kins" who had no choice but to live away from their homeland, and presented them as "History of Life". The portraits you can see in Part 3 are an extension of that. A portrait shows merely the face of a person, but in reality, the person's "personal history" is deeply engraved in it. That personal history is connected to "family history", and further overlaps with the huge "ethnohistory" that runs through "Korean modern history". Forced conscription assumes human rights issues of the individual that involves their suffering, but it has to be spatiotemporally expanded in tandem with family history. As a whole, these "circumstances" become "ethnohistory". It cannot be seen as a dwarfed problem only for individuals.

Part 4 is mainly composed of archives related to former forced laborers presented in the "Sasanobohyo Museum", which was built by renovating and repairing former Kokenji Temple in Shumarinai. This includes the memorial tablets of the forced recruitment workers who were kill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Uryu Daiichi Dam, various certificates and ID cards, photographs of related materials, and records of collaborative workshops that are regularly held at this museum.

While the exhibition consists of four parts, this is just a formal division, and themes are grouped together as whole. The photographer describes this as "forced conscription / forced labor" in consistent terms. In fact, the recruitment enforced by the Empire of Japan was exactly in the form of "forced conscription" and "forced labor." Conscription is a form of "labor exploitation" that mobilizes administrative power when the state is in an emergency and cannot be staffed in a normal way. The "70 Year Homecoming" exhibition deals with the victims of this exploitation carried out by Japan based on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legislated by the Empire of Japan in 1938. Various testimonies and investigations have revealed that this "conscription" was carried out indiscriminately, sometimes mobilized by administrative powers, and sometimes under the guise of "voluntary support".

How did the idea that "conscription" be "legally" tolerated in emergencies such as wartime emerge? The German political philosopher Carl Schmitt, who has contributed to the Nazi philosophy of governance, has provided the logic that in so-called "exceptional conditions" one must accept the sacrifice of individual human rights. In "exceptional conditions", so-called natural disasters and wars that jeopardize the existence of the nation, normal operation of the legal order cannot break through the crisis, in which case administrative power is temporarily It can take precedence over the law. In this way, an extrajudicial order will emerge. Of course,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is extrajudicial power is legitimate belongs to a different dimension. We must also consider the insights of Giorgio Agamben, an Italian philosopher, who points out that extrajudicial power disguised as law structures "exceptional states" as a constant order. In any case, the forced conscription carried out by Japan throughout East Asia, including the colony of the Empire of Japan, Korea, is an intensification of this totalitarian idea. Even assuming that conscription in an emergency is allowed for one's own citizens, it cannot be applied to citizens of another country. Therefore, the recruitment made in Korea for the benefit of Japan was an obvious criminal act. Japan’s "National Mobilization Law" of 1938 was a strategy to "legalize" this criminal act, and based on this, careful conscriptions were carried out under the state initiative. That was not enough, and in 1944, the scope of the "National Service Draft Ordinance" was expanded to include Koreans, and a wider range of compulsory conscription was enforced. All of this is based on the "law", so to speak, it was implemented "legally", but in the end it was just an abuse of administrative power pretending to be "legal". In addition, the testimonies of the survivors of forced labor and related documents revealed that legal contracts between workers and the employer were hardly ever implemented.

History is now passed and only the victims remain. Moreover, most of the victims who were repatriated at the "70 Year Homecoming" were those whose existence had long been forgotten. Since no one can be free from the hegemony of the imperialist nation and the major trends in the history of World War II, do we have to silently accept and endure the consequences? It is impossible for individuals to escape from state-led violence of totality. In this respect, the victims of forced labor are helpless individuals who had no choice but to be sacrificed in the face of enormous violence, a kind of "homo sacer" (meaning those deprived of "social and political life” and having only "biological life", according to Agamben). They didn't even have anyone to “protest against” in order to survive.

However, after many years of efforts by those who had not forgotten those lost souls, the remains were collected and returned to their homeland, albeit late. Unfortunately, this effort was led by Japanese and Korean civic groups, not by the state. One country was ruthlessly violent, and another was unable to protect the victims of the violence. The perpetrator never showed a sincere attitude toward apology and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At the same time, the other nation that was supposed to embrace the victims didn't try to actively rescue them from the swamp of oblivion. Also, just because the forced conscription is state-led does not mean that the companies that actually stole the labor are not liable. As we can see from the numerous cases that have been revealed to date, so-called "war criminal companies" have been able to leave astronomical profits through the cheap labor they have collected through conscription. There are countless criminal acts committed in the process. So to speak, "crimes against humanity" were carried out in secret in the form of public-private collaboration. As a result, the survivors have no choice but to make all the efforts to correct the distorted history, such as revealing the whole of this criminal act, comforting the souls of lost souls, and moving forward appropriate compensation procedures. Of course, it isn’t easy to untangle the both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complicated, entwined threads. First of all, while the current stubborn attitude of the Japanese government is problematic, its incorrect recognition of the past cannot be simply glossed over. Even if it takes time, we must continue to clarify the facts, raise issues, and fully reveal the truth of history.

Which is also the meaning of Song Seung Hyun's work. 70 years passed since the war to excavate remains of the 115 victims and to finally send them home. And even though it's only a small handful of the many more victims, if it took that long, how much more time would it take to get closer to the next “latest truth" that hasn't been revealed yet? As the Kokenji archive shows, no matter how "trivial" the record is, it is useful for proving historical facts to posterity and for preserving those facts as a collective memory. It will be a valuable resource. When both personal memory and objective records exist, the effect is amplified. The photographer actively utilizes the testimonies (memories) of survivors in Part 3 and in Part 4, the archive (record) is used to evoke the past. However that is not enough. It is also necessary to keep a record of current attitudes toward history. Without a record, history would be forgotten.

Sohn Sung Hyun says he was reminded of the Nazi Holocaust as he worked on the production of this forced conscription. I agree that his view is on point -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he two situations appear, the essence is consistent. Moreover, this "crime against humanity" is not a special situation that suddenly emerged in the modern history of East Asia. Similar collective violence and cruelties committed by humans against humans have been consistent throughout the history of civilization. Of course we have seen remorses and confessions. However, the past was easily forgotten, and the history of violence has been repeated. As Sohn mentions, the essence of the Nazi Holocaust is consistent with the forced conscription by the Empire of Japan. However, methods of compensation for so-called crimes have been different. As often pointed out, the German government's sincere remorse for the Holocaust and its condemnation of Nazi war criminals is incomparable to the Japanese government's lukewarm attitude. Similar crimes can reoccur at any time if we are to go on without true remorse - at least so prove the history.

In this context, the photographic record of Song Seung Hyun could play roles in watching over reality, preserving it, and leaving it in the future. What inhumane criminal acts have occurred in the past, how everyday people have been killed, how efforts are currently being made to mourn them and prevent their recurrence. All of this must be recorded one by one and stored as a collective memory. Inhumane atrocities should never be forgotten as long as civilization goes on.

美術批評家

記憶か、
忘却か

パク・ピョンジョン(美学研究、写真批評)

展示「70年ぶりの里帰り ~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で、作家・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は、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の朝鮮人強制徴用の問題について取り扱っている。この展示は大きく4つの部分に分けられる。まず、第1部は2015年に行われた北海道の強制徴用犠牲者の遺骨帰還に関するドキュメンタリー作品である。第2部は、犠牲者の遺骨返還と関連した各種の問題を扱った2011年からの作品で、特に北海道・朱鞠内湖のダム(雨竜第一ダム)の建設に強制動員された労働者の問題を扱っている。第3部では、徴用の被害者をはじめ、犠牲者の家族、原爆被害者、サハリンの徴用被害者のポートレートを中心に、彼らの人生が省みられ、当事者の声も合わせて聞くことができる。第4部は、北海道・朱鞠内にある光顕寺を改修·補修して設立された「笹の墓標展示館」の強制徴用関連アーカイブ作品である。

第1部「70年ぶりの里帰り」は、北海道での朝鮮人強制徴用犠牲者の遺骨が2015年に韓国に「里帰り」する過程に焦点を当てている。1997年から日韓の市民団体の主導で行われた発掘作業により、115人の犠牲者が死後ではあるが故郷に帰ることができた。北海道に強制徴用された朝鮮人労働者の人数の統計は定かでないが、犠牲者は数千人に達すると推定されている。また、生存者の証言と、後世になり行われた研究調査を通じて立証された事実関係を元に、強制労働の強度や処遇、劣悪な労働環境なども考慮すると、この強制徴用が残酷な「非人道的犯罪」であったことが分かる。しかし、強制徴用の賠償問題に対して日本政府が取っている立場を見ると、この問題は依然として未解決のまま進行形の状態である。例えば、強制徴用の被害者が新日鉄住金(現・日本製鉄)に対して起こされた損害賠償請求訴訟において2018年に出された韓国最高裁の判決に、日本政府は過ちを認めない態度で終始している。言うなら、日本政府は、この強制徴用に対する補償はすでに終わっており、真心から謝罪すべき犯罪であるとは考えていないのである。また、第1部の作品では、北海道のアイヌについても取り扱われている。アイヌは、元々、北海道に居住していた先住民だが、明治維新以降の日本政府の弾圧により、現在は日本の少数民族に転落させられた状態だ。強制徴用により北海道に連れて行かれた朝鮮人労働者の中には、過酷な強制労働に耐え切れず脱出し、アイヌの共同体で身を隠すケースが多かったが、その子孫に関する内容もここに含まれている。

第2部「戻ってこれなかった魂」は、北海道・朱鞠内のダム(雨竜第一ダム)建設に徴用された犠牲者関連の作品である。このダムは、日本が1938年から1943年の間、軍需物資の普及に必要な電力確保のために建設した水力発電所である。このダムの建設に動員された労働者のうち200人余りが厳しい寒さと過酷な強制労働で死亡しており、犠牲者の発掘調査を通じて、朝鮮人38人が集団埋葬された事実が明らかにされている。これにまつわる追悼祭と問題解決のための様々な行事およびワークショップ、ダムの現在の姿などを写した写真で構成されている。

第3部「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は、強制徴用者とその家族のポートレート、および、彼らの回顧談から構成される。作家は1990年代からずっと、韓国での「非転向長期囚(訳注:朝鮮戦争以降の南北分断・対立を背景とし、韓国内で「北朝鮮シンパ」であるとして収容されてしまった人々)」をはじめ、アメリカ先住民、コリアンアメリカンなどのポートレート作品を発表してきた。その後も韓国近現代史の葛藤の中で、やむを得ず祖国を離れて生きるしかなかった「在外同胞」のポートレート作品を続け、「人生の歴史」として発表してきた。第3部で観ることのできるポートレートは、その延長線上にある。一枚のポートレートは、「単に」人物の顔だけを見せているのであるが、実はそこに、その人物の「個人史」が深く刻みこまれている。そして、その「個人史」は「家族史」と繋がっており、さらには「韓国近現代史」を貫く巨大な「民族史」に重なる。強制徴用は、その個人の苦痛や人権問題に関わるものであるが、それは家族史と連なって時空間的に拡張せざるを得ない。これらの「事情」が集まり総じて、結局、それは「民族史」となる。個人だけの問題として矮小化して捉えることはできないのだ。

第4部は、朱鞠内の光顕寺を改修·補修して建立された「笹の墓標展示館」所蔵の強制徴用犠牲者関連アーカイブを中心に構成される。これには、雨竜第一ダム建設過程で犠牲になった強制徴用労働者たちの位牌と各種証明書および身分証、関連資料写真などをはじめ、この展示館で定期的に行われている平和ワークショップに関連した資料写真も含まれている。

展示は4部構成となっているが、これは形式上の区分に過ぎず、テーマは一つにまとめられている。作家はこれを「強制連行・強制労働」と一言で表現する。実際に、大日本帝国が施行した徴用は、正確に「強制連行」と「強制労働」の形態を帯びていた。「徴用」とは、国家が非常事態下にあり、正常な方法で人材を充員できない時、行政権力を動員して行う「労働搾取」の一形態だ。「70年ぶりの里帰り」展では、1938年に大日本帝国が公布した「国家総動員法」に基づいて日本が行ったこの「搾取」の犠牲者を扱っている。この「徴用」は、時には行政権力が動員して、時には「自発的支援」を装って、無差別に行われていたことが、様々な証言と調査によって明らかになっている。

「徴用」が戦時のような非常事態においては「合法的に」許容されうるという考え方は、どのようにして出てきたものなのだろうか?ナチスの統治哲学に一定の貢献をしたドイツの政治哲学者カール·シュミットは、いわゆる「例外状態」においては個人の人権を犠牲にすることを甘受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論理を提供したことがある。「例外状態」、いわゆる、天災地変や戦争のように国家の存立を危うくする状況では、法秩序の正常な運用することでは危機を突破することができず、この場合、行政権力は一時的に法に優先することができる、とした。こうして、超法規的秩序が登場することになるわけだ。もちろん、この超法規的権力が正当なものなのか、という判断は別次元の問題である。また、法を装った超法規的権力が「例外状態」を常時の秩序として構造化させていることを指摘する、ジョルジョ・アガンベン(注:イタリアの哲学者)の洞察も考慮しなければならない。いずれにしても、大日本帝国の植民地・朝鮮をはじめとする東アジア全域で、日本が行った強制徴用は、この全体主義的発想が先鋭化した形である。非常事態での徴用が自国民には許されると仮定したとしても、他国の国民に適用されることはできない。したがって、日本の利益のために朝鮮で行われた徴用は明らかな犯罪行為だった。日本が1938年に公布した「国家総動員法」は、この犯罪行為を「合法化」するための策略であり、これに基づいて「官」の主導で周到な人材募集が行われた。それだけでは足りず、1944年に「国民徴用令」の対象を朝鮮人にまで拡大して実施し、より広範囲の強制徴用が施行された。これは、いずれも「法」が根拠となっており、言うなれば「合法的に」実施されたものではあるが、結局は「合法」を装った行政権力の濫用でしかない。さらに、徴用犠牲者の証言と関連資料によると、労働当事者と雇用主体間で締結した契約の内容についても、ほとんど守られなかっ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今や歴史は過ぎさり、犠牲者だけが残った。さらに「70年ぶりの里帰り」の犠牲者のほとんどは、長い間、その存在すら忘れ去られていた人たちである。帝国主義国家の覇権争いと第2次世界大戦という世界史的な大きな流れから誰も自由であることはできないため、結果を黙って受け入れ、耐え偲ばなければならないのだろうか。国家主導による「広範囲な」暴力から、個人が逃れることは不可能だ。こうした点で、徴用の犠牲者は、巨大な暴力の前でなすすべないまま犠牲となるしかなかった無力な個人たち、いわば一種の「ホモ·サケル」(注:「社会的・政治的生」を奪われ、「生物的な生」しか持たない存在の意。前述のアガンベンによる)でもある。自分の犠牲に対して「抗弁」する対象さえなかったのだから。

しかし、彼らの犠牲を忘れずにいた者たちによる長年の努力の末、遅ればせながらではあるが、遺骨が収集されて故国に戻ることになった。遺憾なことに、この努力は国家ではなく、日韓の市民団体の主導で行われた。ある国は無慈悲に暴力を振るい、また別の国はその暴力の犠牲者を保護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そして、暴力の主体だった国家は犠牲者に対する懺悔や補償に真摯な態度を一度も見せず、犠牲者を抱きしめ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国家は、彼らを忘却の泥沼から救い上げるため積極的に動こうとしなかった。また、強制徴用が国家主導で行われたからといって、労働を収奪した企業の責任がないわけではない。現在まで明らかになっている数多くの事例から分かるように、いわゆる「戦犯企業」は徴用で集めた安価な労働を通じ、天文学的なほどの利益を残すことができた。その過程で行われた各種の犯罪行為も数え切れないほど多い。言うなら「人道に対する犯罪」は官民合作の形で秘密裏に行われた。そのため、この犯罪行為の総体を明らかにし、犠牲者の魂を慰め、正当な補償の手続きを進めるなど、歪んだ歴史を正す努力の全てを被害の当事者が個人でするしかないものになってしまった。むろん、政治·外交的に複雑に絡まった糸を解くことは容易ではない。まず、現状の日本政府の頑なな態度が問題だが、過去を糊塗することはできない。時間がかかっても、引き続き事実関係を明らかにして問題を提起し、歴史の真実を完全に明らか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ソン·スンヒョンの作品が持つ意味もここにある。徴用犠牲者の遺骨115体を発掘し、故郷にお送りするのに、戦後の70年がかかった。しかも、それは数多くの犠牲者の中のごく一部に過ぎないにも関わらず、それだけの歳月が必要だったなら、まだ明らかにされていない「もう一つの真実」へと接近するのにどれほど長く時間がかかるか分からない。光顕寺のアーカイブが見せてくれるように、どれだけ「些細な」記録であったとしても、後世に歴史の事実を立証する上で、さらに、その事実を集団の記憶として保存する上での、貴重な資料となる。個人の記憶と客観的な記録が、共に存在する場合、その效果は増幅される。作家は、第3部では犠牲者の証言(記憶)を、第4部ではアーカイブ(記録)を、積極的に活用して過去を呼び起こす。しかし、それだけでは十分ではない。歴史に対する現在の姿勢を記録として残すことも必要だ。記録なしには、歴史は忘却されてしまうものだから。

作家ソン·スンヒョンは、この強制徴用にまつわる作品制作を進めながら、ナチスのホロコーストが思い起こされたと話している。まさに正しい指摘だろう。二つの事態の現れ方に差異はあれども、本質は同じだ。さらに、この「人道に対する犯罪」は、東アジアの近現代史に突然出現した「特殊な」事態でもない。人間により人間に対して振るわれた、これに類似した集団による暴力と残酷な犯罪は、文明史の全てにおいて一貫して行われてきたものだ。もちろん、そこには反省もあり、懺悔もあった。しかし,過去は簡単に忘却されてしまい、暴力の歴史はさらに繰り返されてきた。作家が言及したように、大日本帝国による強制徴用とナチスのホロコーストの本質は同一のものである。しかし「犯罪」に対する懺悔の方式は異なる。これまで数多く指摘されてきたことではあるが、ホロコーストに対するドイツ政府の真摯な反省とナチス戦犯に対する断罪のやり方は、日本政府の生ぬるい態度と比べものにならない。真の反省がなければ、類似の犯罪はいつでも再発生しうることは、文明史によって立証されている。

このような脈絡において、作家ソン·スンヒョンの写真記録が果たしうる役割は、現実を見守り、保存し、未来に残すことである。過去にどんな非人道的な犯罪行為があったのか、無辜の人々がどのような犠牲になったのか、彼らを追悼し、再発を防ぐための努力が、現在どのように進められているのか、このすべてを1つ1つ記録し、集団の記憶として保存しなければならない。非人道的犯罪は文明が続く限り、決して忘却されてはならないからだ。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은 재일 동포들의 삶 이야기이다. 동시에 일제강점기와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재일 동포들의 얼굴을 포착하여 한국 근대사의 그림자를 전시한다.

일본은 전쟁 체제에서 인력 확보를 위해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고 조선인들을 강제로 연행했다. 이에 동참한 몇몇 일본 기업들은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강제 노역을 시켰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본토로 강제 징용된 조선인만 100만 명으로 추정하며, 한반도 내에서 전쟁을 위해 동원된 징용자는 450만 명에 이른다. 모두 합하면 550만 명을 강제동원 했지만, 실제는 이보다 많은 800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한다. 이 전시에서는 일본으로 강제로 끌려간 재일 동포들의 과거 이야기와 거주권과 생존권 문제와 같은 현재 이야기를 다룬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이야기는 시민들의 참여가 발단이 됐다. 1980년대, 일본 시민과 종교인은 훗카이도 강제노동 희생자 유골을 발굴했다. 이후 1997년부터 2014년까지 17년간 한국과 일본의 민간 전문가들, 학생과 청년들이 함께 유골을 추가로 수습했다. 이들이 수습한 유골은 태평양 전쟁 당시 홋카이도 지역으로 강제 징용된 희생자 유골 50여 구와, 인근 사찰에서 100여 구 등 총 150여 구에 달했다. 이 지역에 강제 노동으로 희생된 한국 사람들의 유골은 이들이 찾아내기 전까지, 50년 이상 잊힌 채 방치된 사람들이었다. 양국 정부의 대화가 멈춰있는 동안 한일 시민사회는 직접 나서 발굴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전시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은 국가 간 갈등을 넘어 양국 시민들이 서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모습을 담아낸다. 또한 지속적인 교류로 이뤄지고 있는 유골 발굴과 같은 활동을 기록한 사진도 살펴볼 수 있다.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이 있는 지금, 이들의 이야기는 근대사와 현대사 사이에 유령처럼 떠돌고 있다.

Displaced People

This project is the story of the lives of Zainichi Koreans who were forced to live in Japan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Between the years of 1939 and 1945, during the Asia-Pacific war, as many as one million Koreans were conscripted to Japan as forced laborers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Japanese companie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up to four and a half million Koreans were conscripted and forced to serve for Japan in the war. Including Koreans that were conscripted domestically, up to six million Koreans were forced to work for the Japanese government or Japanese companies. Along with the issues of forced labor and forced emigration, these photos tell the stories of the Zainichi Koreans who were left in Osaka, Kyoto, and other parts of Japan after the war ended, as well as the problems they faced, fighting for their right to reside and right to live. The excavation of Korean forced laborers in Hokkaido has been underway since the 1980s, led by some citizens and religious leaders in Japan. Since then, and over the past 17 years since 1997, Korean and Japanese experts, students, and youths have excavated the skeletons of 50 victims who died due to forced labor in Hokkaido during the Pacific War, along with the remains of about 100 additional victims recovered at temples nearby. While preparing for the project, 70 Year Homecoming to transport the ashes of 115 Korean victims such a long distance back to their home, the exhibition was planned to illuminate how these victims were connected to people still alive today. After the Pacific War ended, it was known that there were many bodies of Korean victims in Hokkaido, where they had been brought for forced labor. Their remains were left on the strange island for over 60 years. Forced labor was encourag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during wartime to implement the country’s war policies. Following the government’s directions, many companies dragged numerous Korean people from their hometowns, forcing them into work until their death.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mpanies still ignored their responsibilities,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uncovered this historical tragedy and began to work at excavating the remains of Korean victims in order to send them home. The excavation project should not be understood only in terms of a conflict between assailants and victims. The discontinued relationship in history can only be recovered when all those involved in the excavation project dedicate themselves to their duties.

Displaced People will show how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have opened their minds and communicated throughout the cooperative project for the excavation of Korean victims, overcoming any conflicts that exist between the two countries.

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

この作業は、韓国近代史における日本の植民地時代と分断、そして、その後に日本に暮らさ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在日コリアンの暮らしの物語である。日本の太平洋戦争時代の1939年から1945年の間、日本政府と企業が実施した朝鮮人強制徴用者は日本で100万人にのぼり、朝鮮半島内で戦争に動員された徴用者は450万人にのぼると言う。朝鮮半島での徴用を合わせると、およそ600万人にのぼる人々が、日本政府と日本の大企業のために強制的に徴用動員されたことになる。ここでは、強制労働、強制連行の問題とともに、戦後に大阪や京都などの日本国内に残された在日コリアンの居住と生存権の問題についても語られる。北海道における強制労働犠牲者の遺骨発掘は、1980年代に日本の市民や宗教人によって始められた。そして、1997年から22年間、韓国と日本、在日コリアン、アイヌの青年たちが共に太平洋戦争の時期に強制労働で犠牲になった50体あまりの遺骨を発掘し、さらに100体以上の遺骨を近隣地域のお寺などから集めた。太平洋戦争が終わった後も、日本の北海道には強制連行された朝鮮半島の人々の遺骨が残っていると知られてはいたものの、放置されたままに60年以上の月日が過ぎてしまった。強制連行・強制労働は、当時の日本政府が戦争を進める政策を展開する過程で生じたものであって、関係した企業により多くの人々がその故郷から離され引きずり込まれ、最後は死に追いやられたのだと言える。日本政府と企業が責任を負わずに放り去った事実を日韓の市民が知ったことで、人間を尊重する最も基本的なことであるからと、犠牲者の遺骨を発掘して彼らの故郷に返そうと動き始めたのだった。今回の 「戻ってこれなかった人々」の写真作業を通じ、日本、韓国、在日コリアン、アイヌの市民たちが、国家間の葛藤を越え、どのように交流し、互いに理解し合い、力を合わせて遺骨を発掘してきたか、そして、そこで生じた出会いがどのように続いているか、写真を通じて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

비평글

카메라는 노인들의 눈에서
빛을 도로 찾아줄 수 있을까?

이영준

노래가 소리를 잃는다면 얼마나 슬플까? 슬프기에 앞서서, 우리는 노래의 호소를 들을 수 없을 것이다. 노래의 소리는 악기와 결과 분위기와 양식에 따라 다성적(polyphony)이므로 그 호소도 매우 다층적이다. 만일 한 가지 방식으로 호소해서 통하지 않으면 다른 방식을 쓰면 된다. 피리로 호소했는데 안 통하면 북으로 호소하면 된다. 따라서 소리의 호소를 한꺼번에 잃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사진이 빛을 잃는다면 얼마나 슬플까? 오늘날 빛의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빛의 예술인 사진도 그 가치를 잃고 말았다. 빛이 귀하던 시절에는 작은...

[ Read more + ]

Critique

Recapturing
a light long lost

Lee, Young June

The light has disappeared from their eyes. When they were young, their eyes would’ve sparkled, full of light. But, after having to leave their hometowns behind and settle in new lands, the light has long been lost. The word “hometown” came to mean not a place that you could return whenever you wished, but rather a source of false hope. Dreaming of going...

[ Read more + ]

기억이 살아있으면
그 사람은 살아있다

손승현

상처, 너는 모든 길을 만들지 세상에 없는 길을 만들기도 하지
조팝나무가 남기고 산 꽃길처럼 저 깊고 환한
상처 / 윤홍조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 국가 간 자본과 노동력의 이동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짧은 시간 비약적 경제 성장을 이룩한 한국 사회 또한 IMF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시장이 가속화 되면서 물리적인 국가 경계를 포함한 사회, 정치, 경제, 종교, 문화의 경계가 약화하기 시작했다. 신자유주의는 한국 사회를 빠르게 변화시켰다. 노동 환경의 변화로 이주 노동자, 결혼 이주민이 한국 사회에 편입되고, 이를 계기로 이주에 관한 시선은 수많은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에게까지 확장됐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정치, 경제, 종교, 역사적인 이유로 이주를 경험한 사람들이다. 이들 상당수는 불행했던 한국 근대사로 인해 사할린과 중국, 중앙 아시아, 미주 지역 등으로 이주/이산 했던 사람들이었다. 거주국 사회에서 유색소수민족으로 차별받기도 한 이들은, 타민족의 문화를 수용하면서도 민족 정체성을 지키고자 했다. 현재 이들의 터전은 해외에 있거나 긴 노마드 시간을 청산하고 한국 땅에 정착해 살고 있다. 그러나 한국으로 돌아온 이들에게 향한 건 차가운 시선이었다. 또한 처음부터 한국에 거주했지만 사회로부터 배제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한국전쟁 전후, 좌익세력으로 분류되어 처벌 받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도 낙인 찍힌 가족과 후손들까지 차별과 냉대 속에 어려운 삶을 살고 있다.

이곳에서는 러시아 사할린 교포, 중앙 아시아 고려인 동포, 조선족 동포, 북한 이탈 주민(새터민), 재일 동포, 재미 동포들을 비롯한 코리안 디아스포라, 낙인 찍힌 한국 사회의 소수자를 만나 기록했다. 이들은 개인의 가족사와 고단한 타국 삶의 애환을 말한다. 또한 주류 역사 속에서 감춰지고 소외되었던 자신들의 정체성은 어떤 것인가 하는 이야기도 담았다. 이들이 증언하는 이야기를 통해 타인에게 배타적인 한국 사회가 우리 모두가 함께 사는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길 바란다.

Living Through
Our Memories

Wounds, you create all roads. At times roads that never existed in this world.
As deep and bright as the road of petals left behind by the bridal wreaths.
Wounds by Yun Hong-jo

With the end of Cold War started the age of globalization where inter-country movement of the capital and labor became ever more active while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boundaries became fragile. Meanwhile Korea achieved an extensive economic growth in such short period of time and its society joined the rest of the world in witnessing countless diaspora such as im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moving from one country to another for political, economic and historical reasons. Many of them left behind their foundation of life in the countries they originated from, but some put an end to the old life to come to the Korean society and settle down here. Among those who have relocated in Korea, some have the history of having moved to Sakhalin, China and North Korea due to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and have experienced migration and separation of the families in the course. Although they share the common Korean sentiments, they find it very difficult to mingle into the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foreign cultures they have embodied over the long years of dwelling as well as the cold treatment they are getting from this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eople who were abandoned by the government after being identified as left party participants during post-Cold War and families of these people. Although they reside in Korea, they believe they are isolated from the Korean society, suffering from discrimination and poor treatment by their country even after all these years.

Fellow Koreans from Sakhalin in Russia, Central Asia, China, Japan, America, as well as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Korean diaspora who live as legal citizens of Korean society yet amidst the sad history of Korea tainted with the Cold War and separation of the peninsula, they are deemed as minorities of this country. I will meet them and hear their stories.

From this encounter, their personal history and the sorrows of living in a foreign country will be documented. I will also discuss their ethnic identity hidden and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Korean history.

Living Through Our Memories Project documents the story and portraits of Korean diaspora who have lived in other cultures in other countr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the political and historic that occurred in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tory of what they had to go through in Korea, the Project aims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social status of Korea where various cultural classes coexist.

I listen to their stories and I am documenting them.

孫昇賢(ソン·スンヒョン)

記憶が生きていれば、その人は生きている

傷よ、お前はすべての道を作る 世の中にない道を作りもする
シジミバナが山に残す、白い花の道のように深くて明るい道を
ユン·ホンジョ「傷」より

冷戦体制の崩壊と国家間の資本と労働力の移動が、どの時代にも増して活発になり、政治、経済、文化的な境界が弱まっているグローバル化(Globalization)の過程で、短期間で飛躍的な経済成長を成し遂げた韓国社会でもやはり、移住労働者や結婚移住者をはじめ、政治、経済、歴史的な理由でへの移住を経験した数多くの「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が生まれた。 彼らは依然として生活の場所を海外としている場合もあるし、長い客地生活を整理して韓国社会に戻って定着している場合もあるのが実情だ。韓国社会に定着した移住者のうち、特に日本の植民地支配と朝鮮戦争により、サハリンと中国、北朝鮮などで、移住と離散を経験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人の場合、(訳注:筆者にとっては)韓国に住む我々と同様の民族的感情を共有し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長い間での暮らしを通じて身体化された他民族の文化に加え、韓国社会内部の冷たい視線によって、韓国社会に適応するのに大きな困難を強いられている。 また、韓国社会に居住していたが朝鮮戦争前後の時代に左翼に加担した者として分類されたせいで国家から捨てられた人々の家族の多くも、長い歳月が経過したにもかかわらず、自ら韓国社会から疎外されながら生きていると自らを認識しており、依然として国家から差別と冷遇を受けて生きていると認識している。

ロシア·サハリンのコリアン、中央アジアで高麗人と呼ばれるコリアン、中国でで朝鮮族と呼ばれるコリアン、北朝鮮の脱北住民、在日・在米コリアンをはじめとした「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に生きる人々と、韓国社会で「法の下ではれっきとした国民」として生きているのに、東西冷戦と南北分断という韓国社会の暗い歴史の中、仕方なく韓国社会のマイノリティであると見なされてきた人々に、この展示の過程を通して出会い、その話を聞くことになるだろう。

この出会いの中で、個人の家族史や、異国での苦しい人生の喜びと悲しみを聞き、記録する予定だ。韓国社会の主流の歴史の中から隠され、疎外されていた自分たちの民族的アイデンティティはどのようなものだったのか、ということも語られ、共有されるだろう。

プロジェクト「記憶が生きていれば、その人は生きている」は、朝鮮半島を取り巻く政治・歴史的事件によって、長い間で異なる文化の中で生きてきた「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を生きる人々の物語や肖像を記録する。彼らが韓国社会で直面するしかなかった経験にまつわる話を通じて、今日の様々な文化的な階層が共存して暮らしている韓国の社会的状況を理解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私は今も彼らの話を聞き、記録しているところだ。

사사노보효(笹の墓標)
강제노동자료관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 이곳 슈마리나이(朱鞠內)의 우류(雨竜)댐과 신메이센(深名線)철도 공사에는 수많은 조선인과 일본인 타코베야 노동자들이 혹독한 강제노역에 동원되어 200명 이상 희생되었다. 사망자 중 이름과 본적지로 확인된 조선인은 48명에 달한다. 그 희생자들은 가족들조차 생사를 알지 못하는 가운데 이역 땅 조릿대(사사) 수풀 밑에 묻혀서 잊혀 갔다.
1976년 이곳 코켄지(光顯寺)에서 위패가 발견되어 소라치(空知)민중사강좌의 시민활동가들이 유해 조사와 발굴을 시작하였다.

1997년부터는 한국, 일본, 아이누, 재일 동포와 여러 나라의 청년 시민들이 참여하여 ‘과거를 마음에 새기고, 현재의 서로를 이해하고, 미래를 함께 열어가는’ 동아시아 공동워크숍을 매년 개최하였다. 이들이 함께 발굴한 유골은 2015년 추석, 고국으로 돌아가 서울시립묘지(파주)의 ‘70년 만의 귀향’ 묘역에 안장되었다.

일본에서 가장 추운 슈마리나이에서 희생된 강제노동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하여 그들을 임시 안치했던 이곳에 ‘사사노보효(笹の墓標: 조릿대 묘표) 강제노동자료관’을 조성하여 화해와 평화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한국) 평화디딤돌 – (일본) 동아시아시민네트워크

Sasanobohyo Forced Labour
Exhibition Hall

This place, Kokenji Temple in Shumarinai, preserves an important history: the history of the workers, including Korean forced labourers and Takobeya labourers (labourers who were housed in prison-like barracks known as Takobeya - Octopus pots), who di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Uryû Dam and Meiu Railway (now known as the Shinmei Railway).

Perhaps you can see the sorrows of the workers reflected in the ripples on the surface of the Shumarinai Lake, like the reflected shadow of the virgin forest.

From 1976 onward, we have been carrying out a movement of commemoration and investigation, which aims to unearth this hidden history, and so to bring to light the realities of these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facts about their victims. Since 1997, more than 1,500 volunteers not only from Japan and Korea but also from many countries have come to Hokkaido to participate the heavy labor of excavating the remains in abandoned graveyards, the ground often matted with thick tangles of bamboo grass (sasa). Preserved sets of remains began to accumulate, and we decided to repatriate them to South Korea in September 2015, timed to the 70th anniversary of the war’s end.

The items you can see displayed here part of this ongoing movement. This place, we hope, will provide a steppingstone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in East Asia.

Please do look at this exhibition. We would welcome your ideas and impressions. Steppingstone for Peace (Korea) East Asian Citizens’ Network (Japan)

笹の墓標展示館
(強制労働資料館・旧光顕寺)

1976年秋、北海道の朱鞠内に位置する光顕寺から、日本人タコ部屋労働者・朝鮮人強制連行犠牲者の位牌80柱余りが発見された。調査により、その昔、王子製紙の資本と飛島組による雨竜ダム工事(1938~43年)と深名線鉄道工事(1935~39年)において200人以上が犠牲になり、その遺体が光顕寺の本堂に一晩安置された後に埋葬されたことが判明した。

1980年から犠牲者の遺骨発掘が取り組まれ、22体の遺骨が発掘された。発掘には、地元の住民をはじめ、高校生や多くの市民が参加した。1997年からは、アイヌ、日本人、韓国人、在日コリアンをはじめ、世界の若者たちが参加する「過去を心に刻み、現在のお互いを理解し、未来を共に拓く」東アジア共同ワークショップが毎年開催され、光顕寺の本堂は東アジアの若者たちの交流の場になった。2015年9月には、活動により発見された北海道各地の朝鮮人犠牲者115体の遺骨が韓国に奉還された。現在、館内には犠牲者の遺品や遺骨発掘と若者たちの交流の歩みが展示されている。

日本で最も寒い地、朱鞠内で犠牲になった、日本人タコ部屋労働、朝鮮人強制連行の犠牲者を記憶し追悼するため、彼らが一時的に安置された光顕寺を「笹の墓標展示館・強制労働資料館」として再生させ、和解と平和の出発点とする。

日本「東アジア市民ネットワーク」- 韓国「平和の踏み石」

감사의 말

전시 ⟨70년 만의 귀향⟩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7년 간 한국과 일본의 여러 도시를 다니며 촬영한 사진으로 구성했습니다. 이번 전시를 위해 많은 분들이 도움과 조언을 주셨습니다.

제 부모님 고 손문성님과 이길례님, 형제 승환과 수미, 미정. 제 선생님 김우룡님과 Martha Rosler. 아내 김윤선과 딸 손지안에게 감사합니다.

전시를 개최하고자 애써주신 이정은 선생님과 전시를 지원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재단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사사노보효(조릿대묘표) 아카이브 전시를 편집, 감수해 주신 박진숙님과 양월운님. 일어와 영어 번역을 진행해주신 김영환님, 최춘호님, 김아람님, 도노히라 유코님. 긴 세월 유골발굴과 한일 시민들의 관계를 연결해주신 도노히라 요시히코 스님과 정병호 교수님.

도움과 자문을 주신 김현태님과 송기찬 박사님, 박수진 박사님, 비평글을 써주신 박평종 박사님과 이영준 박사님, 온라인 전시를 구축하고 개발해주신 Rebel9 김선혁 대표님과 김정욱 실장님, 필름스켄과 디지털 이미지 리터칭을 담당해준 칼라랩 임형주, 장명준 실장님, 포스터를 만들어 주신 김영철님께 감사드립니다. 포스터 ⟨70년 만의 귀향⟩ 글은 고 신영복 선생님의 헌정 글씨입니다.

그리고 한국의 평화디딤돌과 일본의 동아시아 시민 네트워크 회원들, 그리고 아이누 선주민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김정희, 정명희, 김영현, 강호봉, 홍리나, 강수행님 가족, 도노히라 히데미, 오가와 류키치, 오가와 사나에, 김광민, 정진헌, 변미정, 이성화, 리화미, 가게모토 츠요시, 채홍철, 김경수, 이 로사샛별, 윤건차, 고현태, 강주원, 강현진, 김서경, 김성용, 김수행, 김운성, 김현수, 데이비드 윌리엄 플래스, 호시노 쓰토무, 후지타니 코신, 요시다 쿠니히코, 테사 모리스 스즈키, 사카하라 에이켄, 야마자키 타다시, 키쿠치 노보루, 요시이 켄이치, 박묘광, 박선주, 안신원, 아이작 데이비드 내펠, 안효진, 오승래, 윤상석, 윤은정, 윤정구, 윤정하, 한효주, 김지윤, 변산노을, 박정우, 안성혁, 도노히라 카나, 방소형, 이경란, 이기범, 고바야시 히사토모, 키카와 테쓰닌, 키카와 신에이, 나카이 신스케, 도노히라 마코토, 무라타 마사아키, 소가 타이치, 이학수, 김윤기, 정우창, 정유성, 정윤주, 정태춘, 이애주, 정희윤, 채승언, 최자헌, 콜린 니콜 쿡, 황미정, 사사 히로코, 오에 타카유키, 스기타 히데아키, 스기타 류코, 야쿠치 켄, 마시코 미도리, 야구치 코이치, 키타무라 메구미, 키무라 카요코, 고바야시 치요미, 미치마타 카오리

Acknowledgments

This exhibit shows my photographs taken in various cities in Korea and Japan between 2011 and 2018. I am grateful to have had help and advice from many people during this time. I’d like to thank the following people: my parents Late Sohn Mun-sung and Lee Kil-yee, and siblings Sohn Sung-hwan and Sohn Mi-jung

my teachers Kim Woo-ryung and Martha Rosler, my wife Sunny Kim and daughter Sohn Gi-an. Lee Jung-eun who made this exhibit possible, and Foundation for Korean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by Imperial Japan who supported this exhibit.

Park Jin-sook, and Yang Wol-oun who compiled and supervised Sasanobohyo Museum of Forced Labor History Archive Kim Young-hwan, Choi Choon-ho, Kim A-ram, Tonohira Yuko who translated the text to Japanese and English.
Tonohira Yoshihiko for years of excavation work and Professor Jung Byung-ho for connecting the Korean and Japanese volunteers.

Kim Hyun-tae, Ph.D. Song Ki-chan and Ph.D. Park Su-jin for their help and advice, Ph.D. Park Pyung-jong and Ph.D. Lee Young-jun for their critique. Rebel9 who built and developed this virtual exhibition,Colorlab for film scanning and retouching work.
Kim Young-chul for designing the poster, Late Shin Young-bok whose calligraphy was used as the logo for the exhibition. Finally, I’d like to deeply thank the members of Stepping Stone for Peace in Korea and East Asian Citizen’s Network in Japan, as well as the Indigenous people of Ainu.

Kim Jung-hee, Jung Myung-hee, Kim Young-hyun, Hong Ree-na, Kang Ho-bong, Kang Su-haeng, Tonohira Hidemi, Ogawa Ryukichi, Ogawa Sana-ae, Kim Gwang-min, Jung Jin-heon, Byun Mi-jung, Lee Sung-hwa, Lee Hwa-mi, Kagamoto Tsuyoshi, Chae Hong-chul, Kim Kyung-soo, Lee Rosa-saebyul, Yoon Gun-cha, Ko Hyun-tae, Kang Joo-won, Kang Hyun-jin, Kim Seo-kyung, Kim Sung-yong, Kim Soo-hang, Kim Un-sung, Kim Hyun-soo, David William Plath, Hoshino Tsutomu, Fujitani Kosin, Yoshida Kunihiko, Tessa Morris Suzuki, Sakahara Eiken, Yamazaki Tadashi, Kikuchi Novoru, Yoshii Kenichi, Park Myo-gwang, Park Sun-joo, An Shin-won, Isaac David Napel, An Hyo-jin, Oh Seung-rae, Yoon Sang-seok, Yoon Eun-jung, Yoon Jung-gu, Yoon Jung-ha, Han Hyo-joo, Kim Ji-yun, Byunsan Noeul, Park Jung-woo, An Sung-hyuk, Tonohira Kara, Bang So-hyung, Lee Kyung-ran, Lee Ki-beom, Kobayashi Hisatomo, Kikawa Tetsunin, Kikawa Shinae, Nakai Shinsuke, Tonohira Makoto, Murata Masaaki, Soga Taiichi, Lee Hak-soo, Kim Yoon-ki, Jung Woo-chang, Jung Yoon-ju, Jung Tae-chun, Lee Ae-joo, Jung Yoo-sung, Jung Hee-yoon, Chae Seung-eon, Choi Ja-heon, Colin Nicole Cook, Hwang Mi-jung, Sasa Hiroko, Oe Takayuki, Sugita Hideaki, Sukita Ryuko, Yakuji Ken, Mashiko Midori, Yaguchi Koichi, Kitamura Megumi, Kimura Kayoko, Kobayashi Chiyomi, Michimata Kaori.

感謝の言葉

今回の展示作品は、2011年から2018年の間、韓国と日本の様々な都市を回って撮影した写真で構成したものです。この作業のために、多くの方々に手助けと助言と慰労をいただきました。

私の両親、故 ソン·ムンソンとイ·ギルレ、兄弟のスンファンとスミ、ミジョン、私の先生、キム·ウリョンさんとMartha Rosler、妻のキム·ユンソンと娘のソン·ジアンに感謝します。

展示会を開催するために苦労したイ·ジョンウンさんと、展示を支援してくださった「日帝強制動員被害者支援財団」の関係者の方々に、心よりお礼を申し上げます。

「笹の墓標」アーカイブ展示を編集、監修してくださったパク·ジンスクさんとヤン·ウォルウンさん、展示テキストの日本語、英語翻訳を行ってくださった、金英丸(キム・ヨンファン)さん、チェ崔春浩(チェ・チュノ)さん、キム·アラムさん、殿平有子さん。

長い歳月、遺骨発掘と日韓の市民間で関係を結び続けてきた殿平善彦住職と鄭炳浩(チョン・ビョンホ)教授。手助けと諮問をくださった金賢泰(キム·ヒョンテ)さんと宋基燦(ソン·キチャン)博士、パク·スジン博士、批評文を書いてくださったパク・ピョンジョン博士とイ・ヨンジュン博士、オンライン展示を構築し、開発してくださったRebel9のキム·ソンヒョク代表、キム·ジョンウク室長、フィルムのスキャンとデジタルイメージのレタッチを担当してくださったカラーラボのイム·ヒョンジュ、チャン·ミョンジュン両室長。ポスターを作ってくださったキム·ヨンチョルさんに感謝いたします。 ポスターに使用された「70年ぶりの里帰り」のハングルは故・申栄福(シン・ヨンボク)先生が書いてくださった文字です。そして韓国の「平和の踏み石」、日本の「東アジア市民ネットワーク」の会員の皆様、そしてアイヌ先住民の皆様に、深く感謝申し上げます。(以下、敬称略)

金正姫(キム·ジョンヒ)家族、チョン·ミョンヒ、金英鉉(キム・ヨンヒョン)、カン·ホボン、洪里奈(ホン·リナ)、姜守幸(カン・スヘン)家族、殿平ひでみ、小川隆吉、小川早苗、金光敏(キム・グァンミン)、チョン·ジンホン、ピョン·ミジョン、イ·ソンファ、李和美(リ・ファミ)、影本剛、蔡鴻哲(チェ・ホンチョル)、キム·ギョンス、イ·ローサ・セッビョル、尹健次(ユン・コンチャ)、髙鉉泰(コ·ヒョンテ)、カン·ジュウォン、カン·ヒョンジン、キム·ソギョン、キム·ソンヨン、キム·スヘン、キム·ウンソン、キム・ヒョンス、デイビッド・ウィリアム・ブラス、星野孟、藤谷光信、吉田邦彦、テッサ・モーリス=スズキ、坂原英見、山﨑忠司、菊地登、吉井健一、パク・ミョグァン、パク・ソンジュ、アン・シノン、アイザック・デイヴィッド・ネパル、アン・ヒョジン、オ・スンレ、ユン・サンシク、ユン・ウンジョン、ユン·ジョング(智相[チサン]僧侶)、ユン・ジョンハ、ハン・ヒョジュ、キム・ジユン、ピョンサンノウル、パク・ジョンウ、アン・ソンヒョク、殿平華奈、パン・ソヒョン、イ·ギョンラン、イ·ギボム、小林久公、吉川徹忍、吉川真瑛、中井信介、殿平真、村田政昭、曽我太一、イ·ハクス、キム·ユンギ、チョン·ウチャン、チョン·ユソン、チョン·ユンジュ、鄭泰春(チョン・テチュン)、イ·エジュ、チョン·ヒユン、チェ·スンオン、チェ·ジャホン、コリン·ニコル·クック、ファン·ミジョン、佐々紘子、大江崇之、杉田英明、杉田琉子、谷口健、益子美登里、谷口光一、北村めぐみ、木村嘉代子、小林千代美、道又嘉織

기술노트
(Technical Notes)

사진 작업을 진행할 때 촬영하는 피사체에 따라 적합한 사진기를 고르게 된다. 나에게 있어서는 현장에서 피사체와 직접 대면했을 때 본능적으로 촬영이 빨리 이루어지는 조작의 간편함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 정교하게 밝은 빛으로 만드는 초상, 그리고 시간을 가지고 긴 시간 응시하며 촬영하는 풍경 사진들은 적합한 카메라가 필요하다. 하지만 때로는 하나의 카메라로 이 모든 것을 해결해야 되는 상황도 종종 일어난다. 이번 전시에는 지난 8년간 촬영된 사진들 오만여 장 중에서 사진들을 선별했다. 사진을 촬영하는 것만큼이나 촬영한 사진들을 되돌아 살펴보고 하나의 주제로 편집하는 과정은 의미를 강조해주고 어떤 의미를 전달할지가 분명해진다. 전시와 사진집을 만드는 과정은 낱장의 사진이 하나의 주제로 묶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전시 보다는 보다 많은 내용을 중첩되게 다룰 수 있는 사진집이나 온라인 매체를 보다 선호한다.

사진기를 선택할 때는 여정과 피사체에 따라서 카메라가 결정된다. 이번 작업에서 카메라를 정하는 기준은 조작이 간단한 것들, 순간을 잡을 수 있는 카메라가 우선이었다. 그리고 주변 도움이 있을 때 여분의 중형 필름 카메라나 조명을 사용해서 초상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 스냅촬영은 Sony A7R, Zeiss Sonnar T*35mm을 사용하다가 2016년경부터는 Leica X를 사용했다. 라이카에서 가장 조작이 간단하고 35밀리 고정렌즈로 만들어진 이 카메라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담기에 아주 좋았다. 특히 흑백사진에 잘 맞는 톤을 표현해 주었다. 초상사진은 대부분 핫셀블라드(Hasselblad 553ELX)를 사용했고 클로즈업 사진은 80mm Carl Zeiss planar와 120mm Carl Zeiss Makro Planar를 사용했다. 환경과 초상이 함께 나오는 사진은 40mm Carl Zeiss Distagon Lens와 Carl Zeiss Distagon T*50mm를 교차 사용했다. 때로 초상 촬영에 사용한 전기 플래시는 Profoto 7B와 여행에 가지고 다닌 Profoto Acute B600 조명을 사용했는데 배터리로 충전하는 방식이다. 작고 광량은 아주 강해서 야외에서 깊은 심도로 촬영이 가능했다. 2015년 〈70년 만의 귀향〉 여정에는 촬영 여건이 매일 변해서 안정적인 기록을 위해서 플레시(Nikon SB900)를 달고 촬영했다. 편집때 크로핑 등을 염두에 두었기에 큰 로우파일(Raw File) 저장이 가능한 니콘 D810을 사용했다. 렌즈는 24-70mm 줌 렌즈 하나로 모든 일정의 촬영을 진행했다.
삼각대(Gitzo GT2542)는 예비로 가지고 다녔으나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

1990년대부터 사용했던 필름 카메라 Hasselblad와 Mamiya7, 43mm, 65mm, 80mm를 이번 전시작업에도 사용했다. 이 카메라들은 모두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는 방식이다. 필름 카메라를 아직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뷰 파인더에 오랜 기간 적응된 내 눈 때문인데 촬영을 할 때 원하는 모습으로 편안하게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중형 카메라에는 흑백, 컬러 필름을 모두 사용한다. 흑백필름은 코닥 트라이 엑스(Tri-x)필름을 사용했고 컬러필름은 코닥 포트라 Portra 160NC를 선호한다. 트라이 엑스 필름은 D-76 현상액을 물과 1:1로 희석해서 사용했다. 이 현상법은 긴 현상시간으로 인한 여러 단계의 흑백톤을 얻는 데 효과적이다. 컬러필름은 C-41현상을 한 뒤 밀착인화로 만든 후 사진을 골라낸다. 흑백필름은 현상 후 밀착인화를 한 후, 11×14인치 인화를 하는데 코닥 덱톨 현상액(KODAK Dektol)을 물과 1:2로 희석해서 사진을 인화한다. 인화지는 일포드 멀티그레이드 화이버 베이스 인화지(ILFORD Multigrade fiberbase paper)를 사용했고 흑백인화는 베셀라45 (Beseler 45MXT)와 로덴스톡 로다곤(Rodenstock Rodagon) 80mm 렌즈를 이용하여 인화했다.

디지털 이미지는 사진이 선택되면 아도비 로우(Adobe Raw)와 아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을 이용해서 디지털 리터칭을 진행했다. 이번 전시에 들어간 사진들은 필름 사진과 디지털 사진이 뒤섞여 있다. 필름 사진들은 이마콘 스캐너(Imacon flextight scanner)를 이용해서 필름 스캔 후 어도비 포토샵으로 처리했다.

Technical Notes

During photo works, appropriate cameras are chosen according to the subject. Personally, the most important criteria are the simplicity and speed in operation when I’m faced with the subject. Street photography, light sculpted portraits, and landscape photography requiring extended time all need their own cameras.

However, sometimes one camera has to do all jobs. For this exhibit, I have selected photos from 50,000 photos taken in the last eight years. The process of selecting takes as much time as taking the photos and through the process the meaning and the story become clear. Exhibitions and photography books are outcomes of weaving individual photos by a common theme. I personally prefer photography books and online mediums over exhibits because they can contain many overlapping contents.
I choose the cameras according to the journey and the subject. In this work, my criteria for the choice of camera was simplicity and speed in operation. When I had someone around to help, I used medium format cameras and lighting to take portraits. For snap photography, I used to use Sony A7R, Zeiss Sonnar T*35mm then from 2016 I have been using Leica X. Simplest in operation, this 35mm fixed lensed camera is ideal for capturing moving subjects. It expresses black and white photography very well. For most portrait photos I used Hasselblad 553ELX and for close-up photos I used 80mm Carl Zeiss planar and 120mm Carl Zeiss Makro Planar. For photos capturing both people and the environment, I used 40mm Carl Zeiss Distagon Lens as well as Carl Zeiss Distagon T*50mm. Profoto 7B flash lighting and Profoto Acute B600 with charged batteries were sometimes used for portraits. With the compact size and high light intensity, they allowed for expressing depth outdoors. During the 70 Year Homecoming trip in 2015, conditions for shooting changed every day, so I used the Nikon SB900 flash mounted onto the camera. I expected cropping to happen during editing, so I used Nikon D810 for its capacity to store large raw files. I used a 24-70mm zoom lens for the whole trip. I had a Gitzo GT2542 tripod with me all the time although it was not used very often.

Hasselblad and Mamiya7 (with 43mm, 65mm, 80mm lens) cameras were used for the photo works in this exhibition. I have been using them since the 90’s. These cameras are manually focused. The reason why I use film cameras is because my eyes are used to the view finder. This way gives me the most comfort. I use both color and black and white films for the medium format cameras. For black and white films I used Kodak Tri-x films, and for color films, I used Kodak Portra 160NC. For Tri-x films, D-76 developer and water were used (1:1). This method of developing allows many levels of b/w tone due to long developing time. Color films were developed with C-41, contact printed then selected. B/W films were contacted printed after developing then printed onto 11×14 inch using Kodak Dektol and water (1:2). ILFORD Multigrade fiber-base paper was used and for b/w print Beseler 45MXT and Rodenstock Rodagon 80mm lenses were used for printing.

Adobe Raw and Adobe Photoshop were used for digital retouching. The photos in this exhibit are both film and digital photos. The film photos were scanned using Imacon flextight scanner before processing in Adobe Photoshop.

技術ノート
(Technical Notes)

写真作品を作る際、撮影する被写体ごとに適したカメラを選ぶ。私にとっては、現場で被写体と直接対面したとき、本能的に撮影が早く行えるよう操作が簡便であるのが最も重要な基準だ。街角で撮影するストリート写真と、精巧に作った明るい光のもとで撮影するポートレート、そして時間をかけ、長時間の凝視もしながら撮影する風景写真には、それぞれ適したカメラが必要だ。

しかし、時には一つのカメラでこの全てのことを解決しなければならない状況もたびたび起きる。今回の展示では、過去8年間で撮影された写真約5万枚の中から写真をセレクトした。写真を撮影する際と同じくらい、撮影した写真を振り返り良く観て一つのテーマの元に編集する過程においても、意味をどう強調し、どのような意味を伝えるのかが、明確になってくる。 展示と写真集を作る過程は、一枚一枚バラバラの写真を一つのテーマにまとめた成果物といえる。 個人的には、展示よりも、多くの内容を重層的に扱うことができる写真集やオンラインメディアをより好んでいる。

カメラを選ぶときは、その日程と被写体によって、カメラが決まる。今回の作業でカメラを決める基準は、操作が簡単で瞬間を捉えられるカメラが優先だった。そして、周りの補助がある時、追加で、中型フィルムカメラや照明を使って、ポートレート写真を撮影することができた。スナップ撮影は、Sony A7RとレンズにZeiss Sonnar T* 35mmを使用していたが、2016年頃からはLeica Xを使用した。ライカにより、最も操作が簡単かつ35mmの固定レンズで作られたこのカメラは動く被写体を写すのにとても優れていた。 特に、白黒写真によく合うトーンを表現してくれた。ポートレート(肖像)には、ほとんどがハッセルブラッド(Hasselblad 553ELX)を使っており、クローズアップ写真ではレンズに80mm Carl Zeiss planarと120mm Carl Zeiss Makro Planarを使った。 環境と肖像が写っている写真のレンズには40mm Carl Zeiss DistagonとCarl Zeiss Distagon T* 50mmを交互に使用した。たまにポートレートで使ったストロボにはProfoto 7Bと、旅行に持ち運んだProfoto Acute B600を使ったが、これはバッテリー充電方式だ。小さく光量が非常に強いので、野外で被写界深度が深い撮影が可能だった。2015年の「70年ぶりの里帰り」の旅程では、撮影環境が毎日変わるので、安定的な記録のため、ストロボ(Nikon SB900)をつけて撮影した。 編集時のトリミングすることなどを念頭に置いて撮影するため、大きなRAWファイル保存が可能なニコンD810を使用した。レンズは、24-70mmズームレンズ一つですべての日程の撮影を進めた。三脚(Gitzo GT2542)は念のため持ち歩いたが、あまり使わなかった。

1990年代から使用してきたフィルムカメラ、ハッセルブラッド(Hasselblad)とマミヤ7(Mamiya7)と、レンズには43mm、65mm、80mmを、今回の展示作品にも使用した。これらのカメラは、すべて焦点を手動で合わせる方式だ。フィルムカメラをいまだに使っている最大の理由は、ビューファインダーに長い間適応している自分の目のためだが、撮影をする時、好きな姿で楽に撮影を進めることができる。

中型カメラには、白黒、カラーフィルムを全て使用する。白黒フィルムはコダックのトライエックス(Tri-X)フィルムを使い、カラーフィルムはコダックのポートラ(Portra 160 NC)が好みだ。Tri-XフィルムはD-76現像液を水と1:1で希釈して使用した。この現象法は、現象に長く時間がかかるため、様々な段階のモノクロのトーンを得るのに効果的だ。カラーフィルムはC-41現象をした後、コンタクトシートを作った後、写真をセレクトする。白黒フィルムは現像後コンタクトシートを作った後、11x14インチにプリントをするが、コダックのデクトール現像液(KODAK Dektol)を水と1:2に薄めて写真を現像する。印画紙は、イルフォードのマルチグレードファイバーベース印画紙(ILFORD Multigrade Fiberbase paper)を使用し、白黒プリントには、引き伸ばし機にベセラー45(Beseler 45MXT)、レンズにはローデンシュトックのロダゴン(Rodenstock Rodagon)の80mmを使ってプリントした。

デジタル画像は写真を選択すると、アドビRAW(Adobe Raw)とアドビ・フォトショップ(Adobe Photoshop)を利用して、デジタル・レタッチを行った。今回展示された写真は、フィルム写真とデジタル写真が混ざっている。フィルム写真はイマコンのスキャナー(Imacon Flextight Scanner)を利用してフィルムをスキャンしたのち、アドビ・フォトショップで処理した。